-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 Korean Language Screening for International Undergraduate Freshme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한윤정(Yunjung Han)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4호, 621~65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진단평가 이전에 특정 수험자군을 선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는 한국어 선별검사를 외국인 학부 신입생에게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 연구는 한윤정(2021a)에서 개발된 선별검사 과제를 일부 수정하여 예비 검사를 실시한 사례 연구이다. 예비 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적용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2024년 두 학기 동안 총 106명이 응시하였다. 문항분석을 통해 문항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응시자 정보와 검사 결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바탕으로 피드백 방안을 논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 선별검사를 특정 기관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문항 세트를 검토하고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methods for implementing a Korean Language Screening—conducted to identify specific groups of examinees prior to a full-scale diagnostic assessment—for international undergraduate freshmen. Methods: This is a case study in which a pilot test was conducted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screening test tasks developed by Han (2021). The pilot test results were analyz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practical application. Results: A total of 106 students took the pilot test over two semesters in 2024. The test items were examined through item analysis, and feedback strateg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applicants’ background information and their test results. Conclusion: This study applied a Korean Language Screening for international students within a specific institution. Its significance lies in reviewing the test item set and identifying practical points for field applic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현황 조사
3. 한국어 선별검사의 적용과 실제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4호
- 인간-AI 소통에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실천 요소 탐색 - 맥락통일적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가치탐구학습 모형 적용 경험과 인식 분석
- 국어 수업 내 일반 성취 수준 학습자의 언어 학습 특성 -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공간 모델과 독자의 읽기 규정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4장 ‘1440년: 매끈한 것과 홈이 패인 것’을 토대로
- 독서 평가용 텍스트 제작 시 원본 텍스트의 변환 양상 연구 - 전국연합학력평가 중 ‘유언과 상속’ 텍스트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 자국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찰’ 개념의 비교·분석 연구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 측면에서 살펴본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공통국어1, 공통국어2를 중심으로
- 수능 독서 지문 및 문항의 통사적 복잡도가 문항 정답률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시간적 통합 양상
-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문식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 사회기호학에 기반한 국어 문법과 블록 코딩의 연계 학습 설계
-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SF 소설 제재 수록 양상 고찰 - 2022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연결어미 ‘-더니’의 유사문법 목록 및 기술, 교육방안 연구
- <다문화 고부열전>에 나타난 논쟁 담화 특성 연구 - 캄보디아 며느리 편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쓰기 영역의 연구 동향 분석 고찰 - 상호작용 접근법(Interaction Approach)을 바탕으로
- 한국어 형용사 유의어 의미 변별 연구 - ‘꼼꼼하다’류 중심으로
- 외국인 학부 신입생을 위한 한국어 선별검사 적용 사례 연구
- 프랑스 내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참여자의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재의 사회적 호칭어 사용 양상 분석 -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를 중심으로
- 신문 제목과 키워드를 활용한 고급 한국어 학습자 수업 사례 연구 - 어휘 확장 및 읽기 동기 향상의 가능성 탐색
- 학술 논문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연구 - ‘명사+조사+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회피 양상 연구
- 과제 전 계획 활동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탐색
- 교육 목적 동화의 서사 전략과 문학교육적 의의 - <처음 인문학 동화 시리즈>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의 유동성, 생성성, 복합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