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emantic Distinctions of Korean Adjectival Synonyms : Focusing on the ‘Kkomkkomhada’ Group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현(Meixuan Li)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4호, 595~62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고는 ‘꼼꼼하다’ 유의어군을 중심으로 의미 변별 정보를 고찰하고 한국어 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객관성과 정확성을 갖춘 어휘 분석을 위하여 양적, 질적 연구를 병행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우선 어휘 의미 정보를 고찰하기 위해 말뭉치를 바탕으로 대상 어휘 앞뒤 6어절 범위 내의 공기 명사를 추출하고 범주화하였다. 추출한 명사의 정확성을 위해 실제 맥락에서 목표 어휘와 의미적 호응 관계를 검토하였다. 더불어 고빈도로 출현한 명사들을 중심으로 용례도 함께 살펴보고 의미 변별 기준을 설정하였다. 결과: 각 어휘가 선호하는 주제, 상황 맥락, 표현 양식, 시간의 지속성, 내포 의미, 기타 속성의 기준에 따라 의미 변별 정보를 도출하였다. ‘꼼꼼하다’는 업무나 작업 등 일상적인 상황에 두루 잘 사용하고 검토나 체크 등 실질적 맥락을 선호한다. 성격을 표현하는 데 잘 사용하고 어떤 일이나 업무를 완성도 있고 철저하게 잘하는 특성을 표현하는 데 초점이 있다. ‘세밀하다’는 구체적 또는 추상적 대상에 대한 미시적 관찰·분석의 디테일에 초점이 있다. ‘섬세하다’는 주관적인 예리한 감수성과 감각 능력을 의미하며 예술적 직업이나 추상적 감성과 연관되는 표현을 강조하는 데 잘 사용한다. ‘빈틈없다’는 물리적 상황 맥락에서 비는 공간 없이 촘촘함과 완벽함을 강조하는 데 잘 사용한다. 그리고 경계나 대비하는 맥락에도 잘 사용한다. ‘자세하다’는 정보 전달의 명확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결론: 본고는 말뭉치에서 공기 명사와 용례들을 살펴봄으로 각 어휘의 의미적 선호와 그 경향성을 밝히고 유의어 변별적 요소를 파악하는 데 의미가 있다. 연구 결과는 언어 교육 현장, 사전 편찬 등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emantic distinctions within the synonym group of ‘꼼꼼하다’ (thorough)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s: To ensure objectivity and accuracy in the lexical analysis, a combin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was employed. First, to investigate the lexical meaning, collocative nouns within the range of 6 clauses before and after the target lexicon were extracted and categorized.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extracted nouns, the researchers reviewed whether they shared a significant semantic relationship with the target word in authentic contexts. Furthermore, focusing on high-frequency collocates, example sentences were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them to establish criteria for semantic distinction. Results: Semantic distinctions were derived based on criteria including preferred subject, situational context, expression style, temporal continuity, implied meaning, and other attributes of each synonym. ‘꼼꼼하다’ is widely used in everyday work or task-related situations. It is associated with practical contexts like reviews or checks and often describes a personality trait, emphasizing the quality of completing tasks perfectly and thoroughly. ‘세밀하다’ (detailed) focuses on the meticulous observation and analysis of details, whether in concrete or abstract objects. ‘섬세하다’ (sensitive) denotes a subjective, keen sensibility and is frequently used in contexts related to artistic professions or abstract emotions. ‘빈틈없다’ (flawless) emphasizes perfection without gaps, particularly in physical contexts. Additionally, it is often used to describe the act of cautious vigilance or prevention. Finally, ‘자세하다’ (detailed) centers on the clarity and compre- hensiveness of information being conveyed.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its identification of the semantic preferences and tendencies of each synonym and for elucidating their distinguishing features through an analysis of collocational nouns and example sentence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applications in fields such as language education and dictionary compilation.
목차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4호
- 인간-AI 소통에서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실천 요소 탐색 - 맥락통일적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가치탐구학습 모형 적용 경험과 인식 분석
- 국어 수업 내 일반 성취 수준 학습자의 언어 학습 특성 -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공간 모델과 독자의 읽기 규정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4장 ‘1440년: 매끈한 것과 홈이 패인 것’을 토대로
- 독서 평가용 텍스트 제작 시 원본 텍스트의 변환 양상 연구 - 전국연합학력평가 중 ‘유언과 상속’ 텍스트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 자국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찰’ 개념의 비교·분석 연구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 측면에서 살펴본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공통국어1, 공통국어2를 중심으로
- 수능 독서 지문 및 문항의 통사적 복잡도가 문항 정답률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시간적 통합 양상
-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문식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 사회기호학에 기반한 국어 문법과 블록 코딩의 연계 학습 설계
-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SF 소설 제재 수록 양상 고찰 - 2022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연결어미 ‘-더니’의 유사문법 목록 및 기술, 교육방안 연구
- <다문화 고부열전>에 나타난 논쟁 담화 특성 연구 - 캄보디아 며느리 편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쓰기 영역의 연구 동향 분석 고찰 - 상호작용 접근법(Interaction Approach)을 바탕으로
- 한국어 형용사 유의어 의미 변별 연구 - ‘꼼꼼하다’류 중심으로
- 외국인 학부 신입생을 위한 한국어 선별검사 적용 사례 연구
- 프랑스 내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참여자의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재의 사회적 호칭어 사용 양상 분석 - 호칭어가 생략된 담화를 중심으로
- 신문 제목과 키워드를 활용한 고급 한국어 학습자 수업 사례 연구 - 어휘 확장 및 읽기 동기 향상의 가능성 탐색
- 학술 논문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연구 - ‘명사+조사+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회피 양상 연구
- 과제 전 계획 활동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탐색
- 교육 목적 동화의 서사 전략과 문학교육적 의의 - <처음 인문학 동화 시리즈>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의 유동성, 생성성, 복합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