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가치탐구학습 모형 적용 경험과 인식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in Applying the Value Inquiry Learning Model to Korean Language Instruction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염나리(Nari Yeom)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44호, 59~8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들이 국어과 교수·학습 설계에서 가치탐구학습 모형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20년부터 2023년까지 B교육대학교에서 국어과 교육론 및 교재 연구 과목을 수강한 518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가치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작성한 교수·학습안 13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은 가치 탐색, 신념 구성, 표현과 설득, 다원적 관점 수용, 실천과 성찰의 다섯 가지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결과: 예비교사들은 가치 탐색 단계를 비교적 충실히 설계하였으나, 신념 구성이나 표현과 설득 단계에서는 진술 수준에 머무르거나 표현 전략이 구체적으로 설계되지 않았다. 또한, 가치 판단의 일관성이나 맥락적 해석을 유도하는 가치 탐구에 대한 성찰 활동은 대체로 부재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국어과의 가치 교육이 도덕과와 구별되는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여 언어 중심의 탐구와 표현 활동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pplied the value inquiry learning model in designing Korean language classes and to identify the challenges they experienced in the process. Methods: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518 pre-service teachers who had take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eaching Materials courses at a B University of Education between 2020 and 2023. From this dataset, the study selected 13 instructional plans that applied the value inquiry model and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evaluated the plans using five criteria: value exploration, belief construction, expression and persuasion, acceptance of multiple perspectives, and practice and reflection. Result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while value exploration was generally well addressed, the stages of belief construction and persuasive expression remained superficial.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plans rarely included activities that integrated linguistic, paralinguistic, and nonverbal strategies or encouraged reflective application of values in context.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Korean language value education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moral education and should emphasize the 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of values through language. The study also discuss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e- 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curriculum desig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나리(Nari Yeom). (2025).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가치탐구학습 모형 적용 경험과 인식 분석. 새국어교육, (), 59-88

MLA

염나리(Nari Yeom).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가치탐구학습 모형 적용 경험과 인식 분석." 새국어교육, (2025): 59-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