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 측면에서 살펴본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공통국어1, 공통국어2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in Terms of Core Competencies in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 Focusing on Common Korean Language 1 and Common Korean Language 2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조인혜(Inhye Jo)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44호, 247~28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공통국어1, 2의 성취기준과 사회정서학습 핵심 역량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에 따른 수업을 실현했을 때 교과 수업에서 사회정서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와 가능성을 찾아보고 국어교육에서의 사회정서학습 실현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공통국어1, 2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해설’,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관련된 사회정서학습의 다섯 가지 핵심 역량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전문가 검토를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총 29개의 성취기준에서 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없었으며 다섯 가지 핵심 역량 중 적어도 세 개 이상을 포함하여 공통국어1, 2의 성취기준이 사회정서학습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분석 결과는 교과 수업 내에서 충분히 사회정서학습 역량 및 하위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가능성을 드러내며, 이는 실제로 각 역량과 관련된 지점들이 수업 안에서 이루어질 때 사회정서학습 핵심 역량이 개발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이를 토대로 논의할 지점과 역량별 실현 방식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of Common Korean Language 1 and 2 in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social-emotional learning core competencies, to identify the foundation and potential for social-emotional learning in subject- based lessons and propose implementation metho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s: Achievement standards, explanations, and application considerations for Common Korean Language 1 and 2 were analyzed for relevance to the five social- emotional learning core competencies, with results derived through expert review. Results: All 29 achievement standards contained social- emotional learning core competencies, with each including at least three of the five core competencies, indicat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social-emotional learning. Conclusion: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e possibility of sufficiently learning social-emotional learning competencies and sub-skills within subject classes, assuming that social-emotional learning core competencies can be developed when points related to each competency are implemented in class. Based on this, points for discussion and competency-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s were proposed.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사회정서학습과 국어교육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인혜(Inhye Jo). (2025).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 측면에서 살펴본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공통국어1, 공통국어2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 247-282

MLA

조인혜(Inhye Jo). "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 측면에서 살펴본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공통국어1, 공통국어2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2025): 247-2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