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stitutional Trajectory of France’s Policy on Aging with Disabilities : A Historical Neo-Institutionalist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박혜미(Haemi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7권 5호, 693~72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프랑스의 장애인 고령화 대응 정책이 1975년부터 2024년까지 거쳐온 제도화 궤적을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프랑스의 제도 변화를 제도 형성기(1975-1996), 기능 조정기(1997-2004), 전환기(2005-2013), 통합정책 모색기(2014-2019), 자립성 중심 통합체계 이행기(2020-2024)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프랑스는 강한 경로의존성 하에서도 층화(layering)·전환(conversion)· 부분적·단계적 대체(replacement)·표류(drift)가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점진적 변화의 특징을 보였다. 1975년(범주화), 2005년(권리법·PCH·MDPH, CNSA), 2020년(사회보장 제5분과) 등 결정적 분기점에서 외생적 충격과 권리 담론 확산이 제도 궤도 수정의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연령 기반 범주 분리에서 자립성(autonomie) 중심 통합체계로의 전환이 진행되었으며, 2024년 ‘잘 나이듦과 자립을 위한 사회조성법’과 지역자립공공서비스(SPDA) 도입으로 그 실행체계가 구체화되고 있다. 프랑스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한국에 대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의존성을 고려한 점진적 제도 개혁과 현장 중심의 상향식 혁신이 필요하다. 둘째, 통합적 전달체계와 연계·조정 거버넌스의 구축이 중요하다. 셋째, 장애인과 노인을 포괄하는 권리 기반 통합 프레임의 확립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France's policy response to aging with disabilities from 1975 to 2024 through a historical neo-institutionalist perspective. Based on a qualitative literature review, it identifies five phases: institutional formation (1975-1996), functional adjustment (1997-2004), institutional transition (2005-2013), integrated policy exploration (2014-2019), and autonomy-centered system implementation (2020-2024). Despite strong path dependence, incremental change mechanisms: layering, conversion, partial/gradual replacement, and drift interacted to gradually reshape institutional structures. Critical junctures in 1975, 2005, and 2020, driven by exogenous shocks and the diffusion of rights-based discourse, enabled the transition from age-based categorical separation to autonomy-centered integration. The 2024 reforms further institutionalized this integrated system. The analysis suggests thre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pursuing gradual reform within path-dependent constraints; constructing integrated delivery systems with coordinated governance; and establishing rights-based frameworks bridging disability and elderly ca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이론적 배경
Ⅲ. 프랑스 장애인 고령화 정책의 제도 변화
Ⅳ. 프랑스 제도의 특징 : 변화의 경로와 메커니즘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세계 제7권 5호 목차
- 심리학 이론으로 본 영화 <경관의 피>의 주인공 정체성 변화 연구 : 인지부조화와 융의 개성화 과정을 중심으로
- 영화 <그 여자 작사 그 남자 작곡>의 스토리텔링 연구
- 영화 <블랙 스완>에 나타난 욕망과 파멸의 미학 : 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 공연예술 관객의 향기 마케팅 체험에 관한 연구 : 번 슈미트(Bernd H. Schmitt)의 체험마케팅 관점에서
- 공연예술축제 관람객의 체험요소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스케이프의 매개효과
- 재한외국인 장애예술인의 문화시민권과 제도적 배제 구조 연구
- 현대 관현악 작품에 나타난 티베트 전통음악 요소 연구 : 중국 작곡가 팡커제(方克杰)의 <레바 댄스 (热巴舞曲)>을 중심으로
-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동화 모의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음악활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제인 오스틴 소설에 등장하는 샤프롱의 역할과 여성 주체성의 형성
- 구술기록을 통해 본 장승제 기억과 공동체 신앙의 지속성 : 대전 읍내동 장승제를 중심으로
- 불교에서 탑돌이 방향의 기원과 문화적 의미
- 고향사랑기부제의 도입 배경과 제도적 한계 : 정책확산과 정책이전의 이론적 적용
- 조치원문화정원 사례를 통해 본 지역문화공간의 공공성 연구 : 제3의 장소와 공론장 이론을 중심으로
- 청소년들이 인식하는 인공지능 시대의 직업 세계에 관한 주관성 연구
- 청소년이 경험한 부정적 생애경험 유형과 우울·불안 간 관계 : 잠재계층분석(LCA)을 중심으로
- 청소년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재연과 쇠락에 관한 연구
- 청년의 음주와 절망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교양교육 전담기관의 역할과 과제 : 대학 생활 적응 및 전공 선택 지원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전환충격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영유아 미디어 활용 관련 인적 상호작용 연구 동향 : 2003~2024년 국내 학술논문 분석
- 지방자치단체 미혼모·부 지원 조례 비교 연구
- 장애인 대상 인공지능 활용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2001년~2025년
- 부산·울산·경남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 설치 사례 분석연구 :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을 중심으로
- 프랑스의 장애인 고령화 대응 정책의 제도화 궤적 :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 성인기의 도움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친사회적 행동 : 클레어 키건의 『이처럼 사소한 것들』을 중심으로
- 성인 애착이 음주 동기에 미치는 영향 : 고통 감내력, 고통 과잉 감내력과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 효과
- 보건관리자의 협력업체 보건관리에 대한 경험 : 구성주의 근거이론 접근
- 요양보호사 긍정심리자본과 서비스 질 관계 : 직업윤리의식과 직무스트레스 직렬 이중 매개효과
- 몸과 마음의 합일로서의 요가 경험 연구 : 인문학적 성찰을 통한 심리적 치유와 성장 과정 분석
- 정신분석 전이 인식에 대한 연구
- 1960년대 한국의 마약문제와 ‘건강한 국민’
- 인질 구출작전의 영향·성공 요인 분석 : 엔테베, 모가디슈, 이란대사관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인 학습자의 인도네시아어 쓰기 자료에 나타난 중간언어 오류 분석 : 문법·통사·어휘를 중심으로
-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한국어 수업이 외국인 유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미치는 효과
- 국방정책 홍보수단으로서 국방백서 역할 분석 : 문재인 정부 발간 국방백서를 중심으로
- 북한의 핵무력 정책과 한반도 핵안보 위기 : 트럼프 2.0 시대 이재명 정부의 대응 전략
- 동양 평화론을 세계평화론으로 확장하기 위한 전략적 모색
- 상호주관적(Intersubjective) 관계에서의 부정적 치료반응 이해와 목회적 적용
- <하트비트>의 형식적 과잉과 사유의 생성
- 中国汽车门户网站对特斯拉汽车的品牌形象定位研究
- 몽골 공직자의 재산등록공개제도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 한국 「공직자윤리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북미 제네바 기본합의에서 북한의 협상전술과 남한의 역할 : 1993년 외교사료를 중심으로
- 세대효과와 투표선택 : 2017-2024년 한국 선거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