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인 오스틴 소설에 등장하는 샤프롱의 역할과 여성 주체성의 형성

이용수  0

영문명
The Role of Chaperones and the Making of Female Subjectivity in Jane Austen’s Novels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조한선(Han-Sun Cho)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7권 5호, 245~27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인 오스틴의 소설에 등장하는 ‘샤프롱’이란 존재가 여성 인물들의 도덕적, 감성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오스틴의 완성된 장편소설 전체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영국에서 18세기 중후반부터 19세기 초에 사회적 관습으로 정착된 샤프롱은, 미혼 여성의 평판과 가문의 명예를 보호 감시하는 기혼 여성으로, 미혼 여성의 사교 활동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오스틴은 작품에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샤프롱들을 반복적으로 그려냄으로써 가부장적 통제의 불안정성과 젠더 권력의 모순을 드러낸다. 본 논문은 오스틴의 작품에 나타나는 샤프롱의 기능 수행 양상에 따라 샤프롱을 세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이 여성 주체 형성과 어떤 상관관계를 맺는지 분석한 것이다. 첫째, 샤프롱이 무능하거나 방임하는 경우, 여주인공은 자아 성찰을 통해 윤리적 자율성을 형성하는 경향을 띤다. 둘째, 샤프롱이 왜곡되거나 간섭적인 경우, 여주인공은 도덕적 긴장 속에서 자신의 판단을 주장하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게 된다. 셋째, 샤프롱의 존재가 아예 없는 경우, 여주인공은 타인의 간섭 없이 도덕적 주체의 자율성과 책임감을 획득한다. 이와 같은 서사적 구조를 통해 오스틴은 당대의 젠더 이념과 달리 여성 주체가 타인의 감시 없는 공간에서도 윤리적 판단 능력을 형성할 수 있음을 그려낸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오스틴의 소설에서 도덕 규범이나 윤리체계를 새롭게 조명하고, 여성 주체 형성과정에서 주변 인물의 역할을 재고하는 하나의 비평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and function of chaperone figures in Jane Austen’s six major novels, focusing on how these characters influence the mor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the heroine. Originating in the mid-to-late eighteenth century, the chaperone had become a widely accepted social convention by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functioning as a guardian responsible for preserving the propriety of unmarried women and the honor of their families through informal surveillance and control. However, Austen repeatedly narrates cases of absent, incompetent, biased, or overbearing chaperones, thereby revealing the instability and contradictions of patriarchal social control. This paper classifies chaperones into three types based on their functional performance. Firstly, in cases where the chaperone is absent or negligent, the heroine develops her ethical autonomy through self-reflection. Secondly, when the chaperone is distorted or intrusive, the heroine confronts moral tension and learns to assert her own judgment. Lastly, when the chaperone’s role disintegrates entirely, the heroine emerges as a fully independent moral subject. In highlighting these dynamics, the paper offers a new perspective on the ethical structure of Austen’s narratives and reconsiders the role of peripheral figures in the construction of female subjectivit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샤프롱의 개념과 문화적 기원
Ⅲ. 무능하거나 방임하는 샤프롱
Ⅳ. 왜곡된 샤프롱 또는 간섭형 보호자
Ⅴ. 해체된 샤프롱과 여성의 자율성
Ⅵ.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한선(Han-Sun Cho). (2025).제인 오스틴 소설에 등장하는 샤프롱의 역할과 여성 주체성의 형성. 한국과 세계, 7 (5), 245-271

MLA

조한선(Han-Sun Cho). "제인 오스틴 소설에 등장하는 샤프롱의 역할과 여성 주체성의 형성." 한국과 세계, 7.5(2025): 245-2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