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Housing Choice Factors of Middle-aged and Older Household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 저자명
- 강득형(Deug Hyeong Kang) 김재태(Jae Tae Kim)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융복합연구』제5권 제3호, 5~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대한민국에서 중고령가구의 주거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문사회적특성, 경제적 특성, 사회심리적 특성, 건강상태, 노후인식특성 등이 주거지역 선택이나 건강이상유무에 따른 주택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에는 국민노후보장패널 제9차(KReIS) 데이터중 50세 이상가구주 자 료를 활용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가소유 여부, 주택유형, 노후 경제준비 정도, 기타 부동산 보유 여부, 자녀와 의 동거 선호, 건강상태 등이 주거지역 및 주거유형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강 상태에 따라 주거전략이 상이하게 나타나는 이원적 구조가 확인되었으 며, 이는 고령자의 주거 결정이 단선적이지 않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주거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고찰하고, 건강 기반의 맞춤 형 거주체계 등을 분석함으로써 주거정책이 삶과 연동된 방향 설정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ousing choices of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in Korea, which has entered a super-aged society. To this end, the effects of humanities and social characteristics, economic characteristics,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d retirement awareness characteristics on housing typ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residential areas 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health problems were empirically examined. For the analysis, data from heads of households aged 50 or older were used among the 9th data of the National Old Age Security Panel (KRe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lf-ownership, housing type, retirement economic preparation, other real estate ownership, preference for living with children, and health statu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ection of residential areas and housing types. In particular, a dual structure in which housing strategies differ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s was identified, suggesting that the elderly's housing decisions are not straightforward.
This study can be an important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in which housing policy is linked to life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factors influencing housing choice and analyzing health-based customized housing syste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동산융복합연구 제5권 제3호 목차
- 중고령가구의 주거 선택요인 연구
- 프롭테크 스타트업 투자의사결정기준에 관한 연구 - 투자자 관점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창원시 표준지공시지가의 구별 차이에 관한 연구
-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과세기준일 이전 아파트 매매거래가 아파트 매매가격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 주한미군의 영외거주 주택 선택요인에 대한 AHP 분석: 평택 캠프 험프리스를 중심으로
- 정비조합의 내부요인이 연령대별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과천지역을 중심으로
- 서울시 인구변화와 주택가격의 인과성에 관한 연구 - 시차분포모형을 중심으로
- 빈집 공간분포에 따른 도시쇠퇴 특성 분석 - 서울특별시 노원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