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에서 탑돌이 방향의 기원과 문화적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The Origin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Direction of Tabdori(Stupa Circumambulation) in Buddhism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이은경(Eun Kyung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7권 5호, 297~32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불교의 대표적인 예경 의례인 ‘탑돌이(繞塔, pradakṣiṇā)’의 기원과 상징성, 그리고 그 문화적 변용 과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초기 불교 경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오른쪽으로 도는 행위(右繞, 우요)’의 의미에 주목하여, 고대 인도 브라만교 및 베다(Veda) 전통에서 비롯된 방향 개념이 불교 의례에 어떻게 계승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인도에서 정형화된 우요 중심의 탑돌이 관행이 중국과 한국에 전래되며, 각 지역의 사상과 문화에 따라 어떻게 충돌하거나 융합되었는지를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중국에서는 유교의 좌·우 질서 개념과 불교의 우요 관념이 충돌하며 상징 질서의 재해석이 시도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신라와 고려시대를 거치며 탑돌이가 국가적 호국 의례 및 공동체 중심의 복회(福會)로 제도화되었다. 조선시대 억불 정책 이후 탑돌이는 민속화되어 연등회, 성밟기, 탑돌이 민요 등과 같은 세시 풍속으로 변모되었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불교 사찰의 연례 행사 및 문화 축제로 계승되고 있다. 본 연구는 탑돌이의 방향성과 수행 방식이 시대와 문화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형되었음을 확인하며, 그 의례적 상징성과 공동체적 기능이 여전히 유효함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탑돌이가 단순한 불교 의례를 넘어선 대표적 사례로 제시하고, 전통문화의 계승 구조와 종교 의례의 사회적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rigins, symbolism, and cultural transformations of the Buddhist ritual Tapdori(繞塔, the ritual of circumambulating a stupa),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Uyo(右繞, the act of turning to the right) and its connection to directional concepts in ancient India. In China, Tapdori was symbolically reinterpreted in relation to Confucian left-right hierarchies, whereas in Korea it was institutionalized during the Silla and Goryeo periods as a state ritual and communal Bokhoe(福會, merit-accumulating gather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ractice became folklorized, and today it continues as both a Buddhist ceremony and cultural festival. The findings demonstrate the ritual’s historical and cultural adaptability and underscore the enduring significance of its symbolic and communal roles.

목차

Ⅰ. 서론
Ⅱ. 불교 경전 속 ‘오른쪽 돌기’의 어원과 상징성
Ⅲ. 인도 불탑(Stupa)의 기원과 의례적 기능
Ⅳ. 지역별 탑돌이 문화의 전개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경(Eun Kyung Lee). (2025).불교에서 탑돌이 방향의 기원과 문화적 의미. 한국과 세계, 7 (5), 297-322

MLA

이은경(Eun Kyung Lee). "불교에서 탑돌이 방향의 기원과 문화적 의미." 한국과 세계, 7.5(2025): 297-3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