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치원문화정원 사례를 통해 본 지역문화공간의 공공성 연구 : 제3의 장소와 공론장 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Publicness of Local Cultural Spaces through the Case of Jochiwon Cultural Garden : Focusing on the Theories of Third Place and Public Sphere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최영식(Youngsik Choi) 김선영(Sunyo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7권 5호, 357~38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치원문화정원’의 사회문화적 기능을 제3의 장소 이론과 공론장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지역 기반 문화공간이 공동체 형성과 공적 담론의 장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한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 운영대표, 입주 작가, 연구원, 지역 주민과의 심층 인터뷰와 현장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치원문화정원은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개방적 공간에서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과 참여 활동을 통해 자율성과 상호작용성을 실현하고 있었다. 둘째, 제3의 장소가 요구하는 비공식성, 반복성, 사회적 유대 형성의 조건을 충족하는 수평적 담론의 장으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었다. 조치원문화정원은 비공식적 상호작용과 자율적 참여를 바탕으로 제3의 장소이자 생활 기반 공론장의 초기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도적 불안정성과 운영 자원의 한계, 지역문화 기반의 미성숙은 지속가능성에 제약을 주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지역 문화공간이 물리적 재생을 넘어 주민 참여와 공적 담론을 통해 지속가능한 문화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데 있다. 향후 과제로는, 이러한 구조의 지속을 위해 제도적 지원의 안정화와 참여 주체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social and cultural roles of the Jochiwon Cultural Garden in Sejong City, using Ray Oldenburg’s “third place” theory and Jürgen Habermas’s “public sphere” theory as analytical framework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the space’s operator, resident artists, and local residents, along with a user survey. Findings indicate that the Jochiwon Cultural Garden functions as a third place through informal interaction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rooted in everyday life. It also shows early signs of developing into a public sphere, where diverse actors engage in open and horizontal discourse. Examples include collaborations among artists, residents, and schools, as well as public seminars with pluralistic participation. Despite this potential, limitations such as unstable institutional support and limited cultural infrastructure hinder its sustainability. Nevertheless, the space demonstrat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designing local cultural spaces that integrate publicness, autonomy, and everyday cultural eng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식(Youngsik Choi),김선영(Sunyoung Kim). (2025).조치원문화정원 사례를 통해 본 지역문화공간의 공공성 연구 : 제3의 장소와 공론장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 (5), 357-386

MLA

최영식(Youngsik Choi),김선영(Sunyoung Kim). "조치원문화정원 사례를 통해 본 지역문화공간의 공공성 연구 : 제3의 장소와 공론장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5(2025): 357-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