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대 관현악 작품에 나타난 티베트 전통음악 요소 연구 : 중국 작곡가 팡커제(方克杰)의 <레바 댄스 (热巴舞曲)>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ibetan Traditional Music Elements in Modern Orchestral Works : Focusing on Chinese composer Fangkejie's “Leva Dance”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여릉봉(LingFeng Lyu) 홍성규(Sung-Kyoo Hong)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7권 5호, 185~21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 현대 음악은 개혁개방 이후 서양 음악의 단순한 수용을 넘어서 자국 전통문화의 재해석과 계승을 통해 독자적인 미학을 구축해왔으며, 특히 민족 음악 자원의 현대화는 중요한 창작 전략으로 주목받아왔다. 본 연구는 중국 작곡가 팡커제의 관현악곡 <레바 댄스>를 중심으로, 티베트 전통 음악 요소가 현대 작곡기법 속에서 어떻게 수용·변형·통합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악보 분석과 구조적 해석을 통해 선율, 리듬, 음색, 형식의 층위에서 민족적 요소의 작곡 전략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이 작품은 티베트 전통 가무인 되셰, 레바, 셴쯔의 형식을 바탕으로 도입-노래-춤-종결의 삼단 구성과 다층적 음향 구조를 형성하였다. 둘째, 팡커제는 민속 선율, 오음음계, 궁음 종지법을 활용하여 고유한 선율성과 조성을 구현하였다. 셋째, 리듬 구성은 전통 춤의 스텝 리듬과 비강박적 패턴을 통합하여 감정 흐름을 조절하고, 악기군의 리듬 배치를 통해 몰입감을 강화하였다. 넷째, 현대 악기를 통해 전통 악기의 음색을 모사함으로써 민속적 정서를 관현악 언어로 효과적으로 전환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민족성과 현대성의 조화가 단순한 양식 차용이 아닌 구조적 사유와 작곡 전략 속에서 구체화됨을 실증하였으며, 중국적 현대성의 음악적 구현 양상을 입체적으로 조명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민족 음악 현대화의 구체적 실천 방식을 탐색함으로써, 동시대 음악 창작에서 전통과 현대의 융합 가능성에 대한 작곡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Since China’s reform and opening-up, contemporary Chinese music has evolved from the simple adoption of Western techniques toward building a unique aesthetic rooted in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orchestral work Reba Dance by Fang Kejie, exploring how Tibetan folk music elements are adopted, transformed, and integrated within modern orchestration. Using score-based structural analysis, this research examines compositional strategies in melody, rhythm, timbre, and form. The findings show that: (1) the work adopts a tripartite structure based on Tibetan dance forms such as Dui Xie, Reba, and Xianzi; (2) folk melodies and pentatonic modes are adapted to convey distinct tonal identities; (3) rhythmic materials derived from traditional step patterns and non-metrical flows enhance emotional contour and immersion; and (4) orchestral timbres emulate traditional instruments, translating ethnic sound into modern expres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fusion of national and modern elements in Chinese music involves not surface-level borrowing but structural reinterpretation and strategic integration. The results show how China’s musical modernity can emerge through ethnic elements, offering insights for innovation in composi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중국 작곡가 팡커제의 관현악 <레바 댄스> 작품에 나타난 민족적 특징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여릉봉(LingFeng Lyu),홍성규(Sung-Kyoo Hong). (2025).현대 관현악 작품에 나타난 티베트 전통음악 요소 연구 : 중국 작곡가 팡커제(方克杰)의 <레바 댄스 (热巴舞曲)>을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 (5), 185-213

MLA

여릉봉(LingFeng Lyu),홍성규(Sung-Kyoo Hong). "현대 관현악 작품에 나타난 티베트 전통음악 요소 연구 : 중국 작곡가 팡커제(方克杰)의 <레바 댄스 (热巴舞曲)>을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5(2025): 185-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