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Interlanguage Errors in Indonesian Writing by Korean Learners : Focusing on Grammar, Syntax, and Lexis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조민성(Min Sung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7권 5호, 955~98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의 인도네시아어 쓰기 자료를 분석하여 중간언어(interlanguage)에 나타나는 문법, 통사, 어휘 오류의 유형과 원인을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사이버대학교 중급 수준의 학습자 67명이며, 동일 주제로 작성된 작문 과제를 기반으로 오류 분석을 실시하였다. 오류는 문법적 오류(시제 부사, 전치사, 대명사), 통사적 오류(주어·대명사 오용, 어순, 부정문 구성), 어휘적 오류(철자, 날짜 표현, 대소문자 표기)로 분류되었다. 오류의 주요 원인은 한국어 구조의 부정확한 전이, 목표어 규칙의 불완전한 내면화, 음운·표기 습관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미 충돌을 유발하는 시제 부사의 병치, 전치사 누락, 고유명사의 소문자 표기 등은 중간언어 발달 특성을 반영한다. 분석 결과는 반복적 피드백, 대조언어적 접근법, 자동화 기반 오류 진단 도구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외국어 교육 환경에서 중간언어 분석이 가지는 이론적·실천적 가치에 주목하며, 향후 교수법 개선 및 학습자 맞춤형 교육 설계에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grammatical, syntactic, and lexical errors found in the Indonesian writing of Korean native speakers, focusing on features of interlanguag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writing assignments by 67 intermediate learners at a cyber university in Korea. Errors were categorized into grammatical (tense adverbs, prepositions, pronouns), syntactic (subject/pronoun misuse, word order, negation), and lexical (spelling, date expressions, capitalization). Major causes included negative transfer from Korean, incomplete internalization of Indonesian grammar, and orthographic interference. These errors reflec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terlanguage, rather than simple mistakes. The findings suggest that corrective feedback, contrastive analysis, and automated error detection tools can effectively support learners. This study emphasiz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value of interlanguage analysis in online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tailored to learners' need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세계 제7권 5호 목차
- 심리학 이론으로 본 영화 <경관의 피>의 주인공 정체성 변화 연구 : 인지부조화와 융의 개성화 과정을 중심으로
- 영화 <그 여자 작사 그 남자 작곡>의 스토리텔링 연구
- 영화 <블랙 스완>에 나타난 욕망과 파멸의 미학 : 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 공연예술 관객의 향기 마케팅 체험에 관한 연구 : 번 슈미트(Bernd H. Schmitt)의 체험마케팅 관점에서
- 공연예술축제 관람객의 체험요소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스케이프의 매개효과
- 재한외국인 장애예술인의 문화시민권과 제도적 배제 구조 연구
- 현대 관현악 작품에 나타난 티베트 전통음악 요소 연구 : 중국 작곡가 팡커제(方克杰)의 <레바 댄스 (热巴舞曲)>을 중심으로
-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동화 모의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음악활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제인 오스틴 소설에 등장하는 샤프롱의 역할과 여성 주체성의 형성
- 구술기록을 통해 본 장승제 기억과 공동체 신앙의 지속성 : 대전 읍내동 장승제를 중심으로
- 불교에서 탑돌이 방향의 기원과 문화적 의미
- 고향사랑기부제의 도입 배경과 제도적 한계 : 정책확산과 정책이전의 이론적 적용
- 조치원문화정원 사례를 통해 본 지역문화공간의 공공성 연구 : 제3의 장소와 공론장 이론을 중심으로
- 청소년들이 인식하는 인공지능 시대의 직업 세계에 관한 주관성 연구
- 청소년이 경험한 부정적 생애경험 유형과 우울·불안 간 관계 : 잠재계층분석(LCA)을 중심으로
- 청소년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재연과 쇠락에 관한 연구
- 청년의 음주와 절망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교양교육 전담기관의 역할과 과제 : 대학 생활 적응 및 전공 선택 지원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전환충격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영유아 미디어 활용 관련 인적 상호작용 연구 동향 : 2003~2024년 국내 학술논문 분석
- 지방자치단체 미혼모·부 지원 조례 비교 연구
- 장애인 대상 인공지능 활용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2001년~2025년
- 부산·울산·경남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 설치 사례 분석연구 :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을 중심으로
- 프랑스의 장애인 고령화 대응 정책의 제도화 궤적 :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 성인기의 도움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친사회적 행동 : 클레어 키건의 『이처럼 사소한 것들』을 중심으로
- 성인 애착이 음주 동기에 미치는 영향 : 고통 감내력, 고통 과잉 감내력과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 효과
- 보건관리자의 협력업체 보건관리에 대한 경험 : 구성주의 근거이론 접근
- 요양보호사 긍정심리자본과 서비스 질 관계 : 직업윤리의식과 직무스트레스 직렬 이중 매개효과
- 몸과 마음의 합일로서의 요가 경험 연구 : 인문학적 성찰을 통한 심리적 치유와 성장 과정 분석
- 정신분석 전이 인식에 대한 연구
- 1960년대 한국의 마약문제와 ‘건강한 국민’
- 인질 구출작전의 영향·성공 요인 분석 : 엔테베, 모가디슈, 이란대사관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인 학습자의 인도네시아어 쓰기 자료에 나타난 중간언어 오류 분석 : 문법·통사·어휘를 중심으로
-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한국어 수업이 외국인 유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미치는 효과
- 국방정책 홍보수단으로서 국방백서 역할 분석 : 문재인 정부 발간 국방백서를 중심으로
- 북한의 핵무력 정책과 한반도 핵안보 위기 : 트럼프 2.0 시대 이재명 정부의 대응 전략
- 동양 평화론을 세계평화론으로 확장하기 위한 전략적 모색
- 상호주관적(Intersubjective) 관계에서의 부정적 치료반응 이해와 목회적 적용
- <하트비트>의 형식적 과잉과 사유의 생성
- 中国汽车门户网站对特斯拉汽车的品牌形象定位研究
- 몽골 공직자의 재산등록공개제도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 한국 「공직자윤리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북미 제네바 기본합의에서 북한의 협상전술과 남한의 역할 : 1993년 외교사료를 중심으로
- 세대효과와 투표선택 : 2017-2024년 한국 선거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5호 목차
- 심리학 이론으로 본 영화 <경관의 피>의 주인공 정체성 변화 연구 : 인지부조화와 융의 개성화 과정을 중심으로
- 영화 <그 여자 작사 그 남자 작곡>의 스토리텔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