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동성과 프론트타이프론

이용수  0

영문명
A Prototype Approach to Intransitivity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손동주(Son, Dong ju)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9권 제3호, 849~86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1.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존의 동사연구는 자동사와 타동사가 별개의 하위개념으로 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자동사와 타동사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가령, 같은 타동사라고 하더라도 타동성이 강한 동사에서 약한 동사가 있으며, 타동성이 약해지면 결국 자동사에 연결되어 간다고 하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즉, 동사에는 타동원형과 자동원형이 있고, 그것이 서로 연속체의 양끝을 이룬다고 하는 프로트타이프론적인 관점에서 타동사에 대한 분석은 상당히 연구되어 있지만, 일본어 자동사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보단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작과 상태를 나타내는 자동사가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자동성의 관점을 도입하여 분석했다. 우선 동사를 구문상에서 분류하고, 형태상으로 대응하는 동사의 유무에 따라 유대자동사와 무대자동사로 나누고, 의미적인 측면에서 자동사를 분류하였다. 즉, 자동사라고 하더라도 유대자동사와 무대자동사는 나타내는 의미가 다르므로, 각 동사의 의미분석을 통하여, 사태 성립에 대한 의도성의 유무, 간접수동문과의 관련성, 그리고 의지, 명령, 금지표현과의 관련성을 통해 동사의 단계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의해 일본어 자동사가 어떻게 자동성의 관점에서 분류되며, 자동사와 수동표현이 어떻게 역할 분담을 하고 있는가도 명확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Transitive and intransitive verbs were considered to belong to two distinct categories in many previous studies. Recently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where transitive and intransitive verbs no longer belong to two distinct categories, rather they are on a continuum. In the prototype approach, prototypical transitive and intransitive verbs are at both ends of the continuum, less prototypical transitive and intransitive verbs being between them. Previous prototype analyses mainly deal with transitive verbs. This paper discusses intransitive verbs in the framework of the prototype theory. It shows how action and state intransitive verbs are related in terms of intransitivity. It classifies intransitive verbs into syntactically two different verbs--i.e. one with transitive counterparts and the other with no such counterparts. It also provides a semantic classification of intransitive verbs. It is argued that intransitive verbs with transitive counterparts and with no such counterparts show different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that intransitive verbs on a continuum show different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passivization. It is also shown in this paper how Japanese intransitive verbs can be analyzed in terms of intransitivity and how the functions of intransitive constructions and those of passive constructions are interrelated.

목차

Ⅰ. 서론
Ⅱ. 자동사의 분류기준
Ⅲ. 자동사의 의미특징
Ⅳ. 자동사와 수동과의 관계
Ⅴ. 자동성에 의한 분석
Ⅶ.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동주(Son, Dong ju) . (2005).자동성과 프론트타이프론. 국제지역연구, 9 (3), 849-868

MLA

손동주(Son, Dong ju) . "자동성과 프론트타이프론." 국제지역연구, 9.3(2005): 849-8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