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nvironmental and Energ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n Countrie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김진욱(Geneuhc Kim) 김정인(Kim Jeong In) 박창원(Chang Won Park)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9권 제3호, 480~509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동북아 국가의 환경-에너지 협력은 매우 상호 보완 적이라는 점에서 협력의 가능성은 높다고 본다. 그러나 동북아 국가간의 협력이 효율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우선 정보의 공유와 인적자원을 공유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대체 에너지와 환경친화적 상품의 개발을 통한 시범사업을 함으로써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 에너지난을 경험하고 있는 중국에 대해서는 신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건설하거나 한중일 간에 신재생 에너지 개발 협력의 의정서를 체결하도록 하고, 북한과 공유하고 있는 수풍발전소의 전력을 일부 북한에 주도록 하는 협상도 진행하는 것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투자 재원의 확보를 위해서는 UN 기금, GEF, 각국의 은행들이 협조하여 다양한 형태의 환경ㆍ에너지 파생 상품을 조성하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보완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ossibilities of environemntal and energy cooperations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are relatively high since there are strong needs for the exchange of natural resources and energy technologies among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However, in order to share the practical and efficient cooperation, information sharing and human resource network should be build as a top priority. At the same time mutual trust is necessary to build trust to each other by developing renewable energy projects and making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in this region. China is experiencing rather serious energy shortage in these days. Therefore, within a short time, renewable energies such as wind power and bio fuel must be supplied. Even further, Northeast asian countries can try to make a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Protocol (draft) in that region in the future. For the supply of energy to the DPRK, Northeast asian countries may study possibility of electric supply from the SuPung hydro-electric power plant in China. Obtaining financial support is key for the success for cooperation, hence it is desirable to have various sources of finance such as ODA from Japan, GEF fund, world bank, and creation of new mutual fund from commercial banks in this regions..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동북아지역의 에너지·환경현황
Ⅲ. 동북아 지역의 에너지·환경 협력 현황
Ⅳ. 동북아 국가간 단계별 에너지·환경 협력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동성과 프론트타이프론
- 포스트 소비에트 시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관계
- 오차수정모형하의 환율 변동요인 분석
- 중국의 지역개발과 철도수송로 확보전략
- 일본에서의 지주와 소작인의 경제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 주식시장을 통한 외국인 투자 증가의 영향
- Lessons from Global Strategy Behavior of Major Telco
- 海外衝擊要因이 원/달러 換率 變動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 한국기업의 수직적 통합 전략과 사업성과
- 한국전자산업의 내부소싱과 외부소싱에 대한 전략적 선택
- 제3자 물류가 중국 화주기업의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부부재산관련법제의 고찰
- 한·일 FTA와 문화산업에 관한 연구
- 동북아 국가의 환경·에너지 협력의 방안
- Trade, Conflict, and Granger Causality within South and North Korea : Does the Casuality Vary Across Goods?
- 고실업과 시스템 비효율의 원인 및 개혁
- 동북아 지역경제 협력을 위한 개발금융협의체 추진방안
- 협상에서의 제3자의 효율성과 형평성 증진 역할
- EU의 遠洋漁業政策에 관한 硏究
- 중국의 외국인투자유치정책과 한국의 정책적 대응
- 미주지역의 적대적 인수합병인 공개매수 제도와 이의 한국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 한·미·일 대학생들의 창업의식 비교
- 브랜드 가치 평가 속성이 지역축제 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삶의 질의 지역간 상대적 효과분석
- 韓·美 간 아웃렛 스토아(Outlet Stores)의 경쟁력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 중국인의 문화가치와 사회적 딜레마 해소행동
- An Empirical Analysis of International Linkages of the Korean Economy
- 한·중·일 FTA체결에 따른 3국간 생산 및 무역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 환경변화에 따른 일본종합상사 경쟁력과 전략의 변화
- 중국의 한류(寒流)현상과 한국제품평가간 관계
- 한국경영인의 협상자질에 관한 연구
- 한-EU FTA의 주요 쟁점과 평가
- What Would a China-Japan-Korea FTA Bring to US?: A Study on Its Economic Impact Using a Dynamic CGE Model
- 유로전환사채 발행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브라질의 군수산업화와 정부
- 두만강유역 환경협력체 구성방안
-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 이행기 전의 계약위반에 관한 연구
- 중국환경규제와 지역별 효과분석
- [부록] 학회지 『국제지역연구』 간행규정
- 일본의 클러스터정책과 규수 실리콘 아일랜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말(馬)산업 이해관계자의 산업단지 입주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네트워크 외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중·일의 고령화에 따른 연금제도와 정년연장 비교
- Comparative Study of Article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Using Text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Uls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ente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