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Korea-Japan FTA and Culture Industry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박희종(Park,Hui-Jong) 김민수(Kim Min Soo) 전형구(HyeongGuJeon)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9권 제3호, 587~61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한국은 칠레와 싱가포르와 FTA를 체결하고 앞으로 중국, 미국, 일본 등 무역비중이 높은 국가들과의 동시다발적인 FTA 체결을 계획 중에 있다. 특히 일본과는 연내 타결을 목표로 최근까지 정부 간 협상을 진행 중에 있는데 한국과의 FTA를 문화산업의 적극적인 진출과 지적재산권의 강화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음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 역시 문화산업을 새로운 성장의 동력으로 채택하고 있어 양국 간 FTA 협상과정에서 일본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은 ‘지적재산입국’을 표방하면서 정부조직 정비 및 활동을 강화하고 있으며 한국과의 FTA에서 강도 높은 지적재산권 보호를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지적재산권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고 일본과 같은 국가차원의 지적재산권전략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보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의 활용도를 높이고, 기업들이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원활한 지적재산에 관한 국내 법률의 정비가 시급한 사안이며, 문화산업의 핵심인 음악, 영화, 방송, 게임산업 등에서 한・일 FTA 추진을 기회로 지적 재산권에 대한 대대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It is time to have a strategic change in Korean culture industry. Korean culture industry should escape from the existing passive stage, adjust to the market system of world culture industry through the promotion of Korea-Japan FTA and be equipped with the competitivenes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ich are the cores of culture industry. In culturally advanced nations such as Japan, the boundary between the spheres of popular culture industry has disappeared and the maximum profits have been obtained based on synergy effect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various fields. Therefore, Korean culture industry should have a synthetic strategy on culture industry so as to strengthen the linkage system corresponding to the market system found in culturally advanced nations. Through these efforts, those who are concerned in this industry do not simply think of music, broadcasting, movies and games as the sales subjects, but sell their relevant cultural products and create them as Korean tourist items. In doing so, we will have a good opportunity to let people around the world be aware of various Korean cultures.
목차
Ⅰ. 서론
Ⅱ. 한·일 문화시장 및 문화산업 현황
Ⅲ. 한·일 FTA 추진의 주요이슈
Ⅳ. 한국의 대응 방안
Ⅴ. 결론 및 요약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동성과 프론트타이프론
- 포스트 소비에트 시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관계
- 오차수정모형하의 환율 변동요인 분석
- 중국의 지역개발과 철도수송로 확보전략
- 일본에서의 지주와 소작인의 경제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 주식시장을 통한 외국인 투자 증가의 영향
- Lessons from Global Strategy Behavior of Major Telco
- 海外衝擊要因이 원/달러 換率 變動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 한국기업의 수직적 통합 전략과 사업성과
- 한국전자산업의 내부소싱과 외부소싱에 대한 전략적 선택
- 제3자 물류가 중국 화주기업의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부부재산관련법제의 고찰
- 한·일 FTA와 문화산업에 관한 연구
- 동북아 국가의 환경·에너지 협력의 방안
- Trade, Conflict, and Granger Causality within South and North Korea : Does the Casuality Vary Across Goods?
- 고실업과 시스템 비효율의 원인 및 개혁
- 동북아 지역경제 협력을 위한 개발금융협의체 추진방안
- 협상에서의 제3자의 효율성과 형평성 증진 역할
- EU의 遠洋漁業政策에 관한 硏究
- 중국의 외국인투자유치정책과 한국의 정책적 대응
- 미주지역의 적대적 인수합병인 공개매수 제도와 이의 한국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 한·미·일 대학생들의 창업의식 비교
- 브랜드 가치 평가 속성이 지역축제 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삶의 질의 지역간 상대적 효과분석
- 韓·美 간 아웃렛 스토아(Outlet Stores)의 경쟁력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 중국인의 문화가치와 사회적 딜레마 해소행동
- An Empirical Analysis of International Linkages of the Korean Economy
- 한·중·일 FTA체결에 따른 3국간 생산 및 무역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 환경변화에 따른 일본종합상사 경쟁력과 전략의 변화
- 중국의 한류(寒流)현상과 한국제품평가간 관계
- 한국경영인의 협상자질에 관한 연구
- 한-EU FTA의 주요 쟁점과 평가
- What Would a China-Japan-Korea FTA Bring to US?: A Study on Its Economic Impact Using a Dynamic CGE Model
- 유로전환사채 발행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브라질의 군수산업화와 정부
- 두만강유역 환경협력체 구성방안
-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 이행기 전의 계약위반에 관한 연구
- 중국환경규제와 지역별 효과분석
- [부록] 학회지 『국제지역연구』 간행규정
- 일본의 클러스터정책과 규수 실리콘 아일랜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말(馬)산업 이해관계자의 산업단지 입주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네트워크 외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중·일의 고령화에 따른 연금제도와 정년연장 비교
- Comparative Study of Article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Using Text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Uls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ente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