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Z세대의 ‘진짜 같음’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 진정성, 과시적 진정성, 프로필성의 삼중 변증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How is Gen Z’s ‘Authenticity’ designed? : Focusing on the Triple Dialectic of authenticity, conspicuous authenticity, and profilicit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주민재(Minjae Joo)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965~99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플랫폼화된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Z세대가 체감하는 ‘진짜 같음’이 어떻게 설계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진정성-과시적 진정성-프로필성’의 삼중 변증법을 구축하고, 2020-2025년에 발표된 국내 Z세대 관련 학술논문 11편을 대상으로 통합적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다. ‘서지, 이론틀, 플랫폼·기능, 표본 특성, 방법, 핵심 변수 정의, 정체성 관련 진술·결과, 지표·알고리즘 인식, 청중 설계 전략, 정서·웰빙 결과, 한계, 필자의 시사점’의 추출 매트릭스로 데이터를 표준화하였으며, 1차 주제코딩과 2차 이론정렬 코딩을 통해 결과를 구조화하였다. 코딩 분석 결과, Z세대 디지털 정체성의 작동은 ①선택적 진정성, ②프로필 최적화, ③전시적·과시적 진정성, ④휘발성 서사, ⑤아바타화된 자아의 다섯 기제가 상호 순환하는 과정으로 수렴하였다. 이러한 연쇄 구조는 ‘규범(진정성)→신호(과시적 진정성)→제도(프로필성)’로 매개되며, 플랫폼의 알고리즘과 지표가 보상·노출·제약을 분배함으로써 표현 문법을 표준화한다. 한국적 맥락에서는 다계정 운용, 스토리 중심의 휘발성 공유, 숏폼 루틴, 상업 협업의 속도, 평판 민감성이 결합되어 위의 연쇄 구조를 가속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stablishes a triadic dialectic of ‘authenticity-conspicuous authenticity-profilicity’ to elucidate how Gen Z perceives ‘authenticity’ in platformized social media environments, and examines how this ‘authenticity’ is designed. - conspicuous authenticity - profilicity’ to examine how Gen Z perceives ‘authenticity’ in platformized social media environments.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ing was conducted on 11 domestic academic papers related to Gen Z published between 2020 and 2025. Data were standardized using an extraction matrix comprising ‘bibliography, theoretical framework, platform/function, sample characteristics, methodology, core variable definitions, identity-related statements/findings, indicator/algorithm awareness, audience design strategies, emotional/well-being outcomes, limitations, and authors’ implications’. Results were structured through primary thematic coding and secondary theoretical alignment coding. Coding analysis revealed that the operation of Generation Z's digital identity converges into a process where five mechanisms mutually circulate: ① selective authenticity, ② profile optimization, ③ performative/conspicuous authenticity, ④ volatile narratives, and ⑤ avatarized self. This chained structure is mediated by ‘norm(authenticity) → signal(ostentatious authenticity) → system(profile-centricity)’, with platform algorithms and metrics standardizing expression grammar by distributing rewards, exposure, and constraints. Within the Korean context, the combination of multi-account management, story-centric volatile sharing, short-form routines, the pace of commercial collaborations, and reputation sensitivity accelerates this chain structure.

목차

1. 플랫폼화된 디지털 환경에서의 진정성
2. 진정성의 계보와 과시적 진정성, 프로필성의 개념
3. Z세대 디지털 정체성 키워드 도출
4. Z세대 디지털 정체성 키워드 고찰
5. 삼중 변증법의 작동과 통합 체계
6. 디지털 정체성의 구성 : 규범-신호-제도의 연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민재(Minjae Joo). (2025).Z세대의 ‘진짜 같음’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 진정성, 과시적 진정성, 프로필성의 삼중 변증법을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 (5), 965-998

MLA

주민재(Minjae Joo). "Z세대의 ‘진짜 같음’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 진정성, 과시적 진정성, 프로필성의 삼중 변증법을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5(2025): 965-9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