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Writing Education Using Classical Content : Focusing on Successful Strategic Writing Using Military Strategy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영환(Younghwan Lee)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13~3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전 콘텐츠를 접하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글쓰기 역량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 방안은 사전 조사를 거쳐 강의 방법과 내용을 설정하고 실행하며, 교육 수요자의 평가를 통해 환류하는 과정을 거친다. 고전 가운데 사마천의 사기열전은 동양고전 및 문장의 정수라 평가받는다. 형식적으로는 과거시험을 준비하면서 필수적으로 숙독해야 했던 자료이면서, 내용상으로는 다양한 삶의 양상을 보여준다. 그 가운데 병법가로 알려진 손무, 손빈, 오기, 오자서 등의 자료에는 목표를 성취하는 성공 전략이 담겨있다. 교육 수요자는 그 내용을 읽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며 소정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전략을 글로 표현한다. 교육 수요자는 축구선수, 만화가, 화가, 피아니스트 등 자신만의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한 전략을, 병법을 활용하여 수립할 수 있었다. 환류에서 인생의 성찰과 글쓰기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평가가 많았으며 병법이라는 생소한 개념과 이를 활용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는 평가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nhance writing skills by engaging with classical content and leveraging this experience. The educational plan is develop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followed by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teaching methods and content, and then feedback through learner evaluation. Among the classics, Sima Qian's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is considered the pinnacle of Eastern literary prose. While formally essential reading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s, its content portrays diverse aspects of life. Among these, the works of Sun Tzu, Sun Bin, Wu Qi, and Wu Zixu, known as military strategists, contain successful strategies for achieving goals. Students read these materials, reflect on their own lives, and write about strategies for achieving their goals. Students were able to utilize these strategies to develop strategies for success in their respective fields, whether as soccer players, cartoonists, painters, or pianists. Many people said that reflection helped them reflect on their lives and improve their writing. Others said that the unfamiliar concept of military strategy and its application were challenging.
목차
1. 서론
2. 교육 모형의 설계
3. 교육 방안의 실행
4. 교육방안의 환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6권 5호 목차
-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글 문서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 - 매체 기능과 수업 설계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 감응력 없는 저자 - 생성형 AI 시대의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 정치적 리터러시로서 1792년 만인소 운동에 나타나는 공론 형성에 관한 연구 - 집단적 글쓰기를 통한 ‘논증기호’의 형성
- 자기반영적 글쓰기로서의 수필과 근대적 주체의 형성 - 김진섭의 수필 세계
- Z세대의 ‘진짜 같음’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 진정성, 과시적 진정성, 프로필성의 삼중 변증법을 중심으로
-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대학 소설교육의 효과성 연구
- 한국-일본 호러 장르 비교 연구 - 소용돌이형 사회구조와 상자형 사회구조의 도식적 내러티브를 통해
- 고전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 병법을 활용한 성공 전략 글쓰기를 중심으로
- 문학과 영상의 통합적 교수·학습 가능성 탐색 - 수업 실천 연구 흐름과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거짓의 역량’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 대학생 필자의 챗GPT 활용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AI 글쓰기 교과 설계 방향 설정을 위하여
- 대학 글쓰기 수업을 통한 담론 주체로서의 청년 인식 연구
- 휴타고지적 비선형 학습에서 생성적 실패의 의미 -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자기 인식
- 주제 선정 단계에서 동료 피드백의 효과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 한국어교원의 온라인 튜터링 경험과 교사 효능감 변화 -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I 읽기 환경에서 대학생 독자의 목적 설정 양상 분석 - ChatGPT를 활용한 읽기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직장문화 교육 방안 연구 - 드라마 <미생>을 활용한 문화감지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 양상 고찰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을 고려한 대화 첨삭 피드백 방안
- Z세대 대학생과 교수의 핵심역량 인식 차이 분석에 기초한 교양교육 운영 시사점 - I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문 문식성 기반의 논술형 평가 방향 탐색 - 수능 서·논술형 평가 도입의 맥락에서
- 국어과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사례 연구 -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특수 교육과정의 국어과 기본 교육과정과 일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검토⑵ -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그릿수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논술형 평가를 위한 텍스트 자질 선정 - U-KTA 활용 결과를 중심으로
- 휘문고보 개혁운동을 바탕으로 한 정지용의 「카페 프란스」 재해석
- 표면의 사건과 기억: ‘피부자아’로 읽는 최승자 시 연구 - 『이 時代의 사랑』(1981)을 대상으로
- 광기의 형식과 진실의 윤리 - 『채식주의자』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리터러시 연구 16권 5호 목차
-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글 문서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 - 매체 기능과 수업 설계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