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to University Nove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박선영(Sun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81~11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교양의 문학 수업 사례를 통해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소설교육의 효과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23년 2학기와 2024년 1학기에S대학교의 교양선택 <현대문학의 이해> 수업과 연계하여, 수강생 총 4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주(11주차~14주차)에 걸쳐 ‘질문 중심 하브루타’를 적용한 다음, 학생들이 제출한 하브루타 활동지 및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효과성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하브루타 활동이 단계별로 충실히 이행되었으며, 학습 내용에서도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었다. 설문조사에서도 1)소설 텍스트 선정, 2)하브루타 수행 및 성과, 3)하브루타 적용 수업의 효과, 4)학습자의 학습 능력 향상 등과 관련된 모든 문항에서 매우 유의미한 성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대학의 문학 수업에서 하브루타 학습법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학습자 중심의 대학 교양 수업에 하브루타 적용에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대학의 소설교육에 하브루타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소설교육 연구와의 변별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to novel education through a case study conducted in a university liberal arts literature course. The participants were 45 students enrolled in the elective course Understanding Modern Literature at S University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23 and the first semester of 2024.
Over a four-week period (weeks 11-14), a “question-centered Havruta” approach was implemented, and its effectiveness was analyzed using students’ Havruta activity sheets and survey response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faithfully performed Havruta activities at each stage and demonstrated noteworthy achievements in their learning outcomes. Survey findings also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across all categories: 1) selection of novel texts, 2) the process and outcomes of Havruta activities, 3) overall effectiveness of Havruta-based instruction, and 4) enhancement of learners’ competencies.
These results validat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Havruta learning method in university-level literature instruction and demonstrate its potential to support learner-centered liberal arts edu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s a new perspective to the field by applying Havruta to university level novel education, thereby differentiating itself from previous research .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수업 모형 설계
4. 사례 분석
5. 설문 결과 분석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6권 5호 목차
-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글 문서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 - 매체 기능과 수업 설계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 감응력 없는 저자 - 생성형 AI 시대의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 정치적 리터러시로서 1792년 만인소 운동에 나타나는 공론 형성에 관한 연구 - 집단적 글쓰기를 통한 ‘논증기호’의 형성
- 자기반영적 글쓰기로서의 수필과 근대적 주체의 형성 - 김진섭의 수필 세계
- Z세대의 ‘진짜 같음’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 진정성, 과시적 진정성, 프로필성의 삼중 변증법을 중심으로
-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대학 소설교육의 효과성 연구
- 한국-일본 호러 장르 비교 연구 - 소용돌이형 사회구조와 상자형 사회구조의 도식적 내러티브를 통해
- 고전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 병법을 활용한 성공 전략 글쓰기를 중심으로
- 문학과 영상의 통합적 교수·학습 가능성 탐색 - 수업 실천 연구 흐름과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거짓의 역량’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 대학생 필자의 챗GPT 활용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AI 글쓰기 교과 설계 방향 설정을 위하여
- 대학 글쓰기 수업을 통한 담론 주체로서의 청년 인식 연구
- 휴타고지적 비선형 학습에서 생성적 실패의 의미 -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자기 인식
- 주제 선정 단계에서 동료 피드백의 효과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 한국어교원의 온라인 튜터링 경험과 교사 효능감 변화 -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I 읽기 환경에서 대학생 독자의 목적 설정 양상 분석 - ChatGPT를 활용한 읽기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직장문화 교육 방안 연구 - 드라마 <미생>을 활용한 문화감지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 양상 고찰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을 고려한 대화 첨삭 피드백 방안
- Z세대 대학생과 교수의 핵심역량 인식 차이 분석에 기초한 교양교육 운영 시사점 - I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문 문식성 기반의 논술형 평가 방향 탐색 - 수능 서·논술형 평가 도입의 맥락에서
- 국어과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사례 연구 -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특수 교육과정의 국어과 기본 교육과정과 일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검토⑵ -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그릿수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논술형 평가를 위한 텍스트 자질 선정 - U-KTA 활용 결과를 중심으로
- 휘문고보 개혁운동을 바탕으로 한 정지용의 「카페 프란스」 재해석
- 표면의 사건과 기억: ‘피부자아’로 읽는 최승자 시 연구 - 『이 時代의 사랑』(1981)을 대상으로
- 광기의 형식과 진실의 윤리 - 『채식주의자』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리터러시 연구 16권 5호 목차
-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글 문서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 - 매체 기능과 수업 설계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