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ormation of Public Discourse in the 1792 Maninso as Political Literacy : Constructing “Argument Signs” through Collective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윤인선(Insun Yoo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775~79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1792년 만인소 운동을 ‘정치적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집단적 글쓰기를 통해 ‘논증기호’가 형성되어 공론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퍼스(C.S. Peirce)의 기호학을 바탕으로, 개인의 주장을 명제적으로 제시하는 채제공의 상소(‘발화기호’)와, 역사적·맥락적 근거를 통해 독자(왕)의 추론을 유도하는 만인소(‘논증기호’)의 소통 방식을 비교 분석한다.
1792년 만인소는 영남 사림의 역사적 정당성과 같은 여러 전제를 귀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표면적 요구인 유성한 처벌을 넘어 사도세자 신원, 노론 견제 등 숨겨진 정치적 의제를 독자(왕)가 추론하게 하는 ‘논증기호’의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논증 구조는 ‘상소-비답’ 과정에서 왕이 최종 결론(유성한 처벌)을 수용하지 않더라도, 그 전제들(‘큰 강령’)에 대해서는 ‘공통의 해석소’를 수립하게 했다.
결론적으로 1792년 만인소 운동은 집단적 글쓰기로 구성된 논증기호를 통해 왕과 소통하며 사회적 합의(공론)를 형성한 정치적 리터러시의 실천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공론 형성이 최종 주장의 수용 여부를 넘어, 논증의 전제에 대한 이해와 공통의 해석을 구축하는 과정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며, 현대 공론장에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1792 Maninso Movement through the lens of “political literacy” and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of public discourse through the formation of an “Argument Sign” via collective writing. This analysis, grounded in C.S. Peirce’s semiotics, comparatively examines the communication methods of Chae Je-gong’s personal appeal (a “Dicent Sign”), which propositionally presents an individual’s claim, and the Maninso (an “Argument Sign”), which directs the reader’s (the king’s) inference through historical and contextual foundations.
The analysis indicates that Maninso exhibited the traits of an “Argument Sign.” The inductive presentation of various premises, such as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Yeongnam scholars, prompted the reader to deduce concealed political agendas beyond the overt call for Yu Seong-han’s punishment, including the restoration of Crown Prince Sado’s honor and checking the Noron faction’s influence. This argumentative structure, within the “appeal-response” mechanism, facilitated the establishment of a “common interpretant” concerning its premises (the “main principles”), despite the king’s rejection of the final conclusion (the punishment of Yu Seong-han).
In conclusion, the 1792 Maninso Movement exemplifies a practice of political literacy that formed a social consensus (public discourse) by engaging the king through an “Argument Sign” created via collective writing. This demonstrates that public discourse can be established not only through the endorsement of a conclusive assertion but also through the cultivation of comprehension and a shared interpretation of the argument’s premises, providing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contemporary public sphere.
목차
1. 서론
2. 집단적 글쓰기를 통한 논증기호로서 만인소의 형성
3. 정치적 리터러시로서 공론의 커뮤니케이션
4. 마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6권 5호 목차
-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글 문서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 - 매체 기능과 수업 설계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 감응력 없는 저자 - 생성형 AI 시대의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 정치적 리터러시로서 1792년 만인소 운동에 나타나는 공론 형성에 관한 연구 - 집단적 글쓰기를 통한 ‘논증기호’의 형성
- 자기반영적 글쓰기로서의 수필과 근대적 주체의 형성 - 김진섭의 수필 세계
- Z세대의 ‘진짜 같음’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 진정성, 과시적 진정성, 프로필성의 삼중 변증법을 중심으로
-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대학 소설교육의 효과성 연구
- 한국-일본 호러 장르 비교 연구 - 소용돌이형 사회구조와 상자형 사회구조의 도식적 내러티브를 통해
- 고전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 병법을 활용한 성공 전략 글쓰기를 중심으로
- 문학과 영상의 통합적 교수·학습 가능성 탐색 - 수업 실천 연구 흐름과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거짓의 역량’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 대학생 필자의 챗GPT 활용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AI 글쓰기 교과 설계 방향 설정을 위하여
- 대학 글쓰기 수업을 통한 담론 주체로서의 청년 인식 연구
- 휴타고지적 비선형 학습에서 생성적 실패의 의미 -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자기 인식
- 주제 선정 단계에서 동료 피드백의 효과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 한국어교원의 온라인 튜터링 경험과 교사 효능감 변화 -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I 읽기 환경에서 대학생 독자의 목적 설정 양상 분석 - ChatGPT를 활용한 읽기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직장문화 교육 방안 연구 - 드라마 <미생>을 활용한 문화감지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 양상 고찰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을 고려한 대화 첨삭 피드백 방안
- Z세대 대학생과 교수의 핵심역량 인식 차이 분석에 기초한 교양교육 운영 시사점 - I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문 문식성 기반의 논술형 평가 방향 탐색 - 수능 서·논술형 평가 도입의 맥락에서
- 국어과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사례 연구 -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특수 교육과정의 국어과 기본 교육과정과 일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검토⑵ -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그릿수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논술형 평가를 위한 텍스트 자질 선정 - U-KTA 활용 결과를 중심으로
- 휘문고보 개혁운동을 바탕으로 한 정지용의 「카페 프란스」 재해석
- 표면의 사건과 기억: ‘피부자아’로 읽는 최승자 시 연구 - 『이 時代의 사랑』(1981)을 대상으로
- 광기의 형식과 진실의 윤리 - 『채식주의자』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리터러시 연구 16권 5호 목차
-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글 문서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 - 매체 기능과 수업 설계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