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휘문고보 개혁운동을 바탕으로 한 정지용의 「카페 프란스」 재해석

이용수  0

영문명
A Reinterpretation of Jeong Ji-yong’s Café France Based on the Huimun High School Reform Movement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성현아(Hyunah Sung)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799~835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정지용이 주도한 1920년 휘문고보 개혁운동을 당대 자료와 새로 발굴한 정지용의 인터뷰를 통해 재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 「카페 프란스」에 드러난 민족의식과 정치적 함의를 새롭게 해석하는 논문이다. 휘문고보 개혁운동은 학내 문제 개선을 표방했으나, 실상 3·1운동의 영향 아래, 민족 차별적 교육과 교주 민영휘의 학교 사유화에 맞선 민족적 저항운동이었다. 이러한 맥락을 고려하면, 자신이 ‘자작의 아들’이 아님을 강조하는 시 「카페 프란스」는 조선인을 착취하여 축적한 부로 학교를 독선적으로 운영했던 자작 민영휘와 휘문고보 재단 이사직을 차지했던 그의 세 아들로 대표되는 친일 세력의 부패를 비판하는 정치적 함의를 담은 작품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카페 프란스」를 비롯한 정지용의 초기 시와 산문이 일본 근대 문물의 체험뿐 아니라 휘문고보 개혁운동 참여를 통해 심화된 일제와 친일 세력에 대한 반감, 무기정학을 당했다가 교비 장학생이 된 아이러니한 처지, 조선적 가치를 수호하고자 하는 의지 등이 복합적으로 투영된 작품임을 밝혀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constructs the 1920 Huimun High School Reform Movement, led by Jeong Ji-yong, using contemporary sources and newly discovered interviews with Jeong Ji-yong, and reinterprets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implications in his poem Café France. While the movement ostensibly aimed to improve school affairs, it was in fact a nationalist resistance against ethnically discriminatory education and the privatization of the school by Principal Min Yeong-hwi, following the March First Movement. In this context, Café France, which emphasizes that the speaker is not “the son of a viscount,” can be read as a critique of the corruption of pro-Japanese forces, represented by Min Yeong-hwi and his three sons, who held positions on the school board and engaged in misconduct. Jeong Ji-yong’s early poetry and prose, including Café France, reflect not only his experiences with Japanese modernity but also his intensified antipathy toward Japanese and pro-Japanese authorities, the irony of being suspended and later sent to study in Japan as a school-funded scholar, his exchanges with fellow activist Park Je-hwan, and his ongoing commitment to protecting Korean values under colonial rule.

목차

1. 서론
2. 휘문고보 개혁운동의 의의와 정지용의 참여 양상
3. 「카페 프란스」에 나타난 민족의식과 정치적 함의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현아(Hyunah Sung). (2025).휘문고보 개혁운동을 바탕으로 한 정지용의 「카페 프란스」 재해석. 리터러시 연구, 16 (5), 799-835

MLA

성현아(Hyunah Sung). "휘문고보 개혁운동을 바탕으로 한 정지용의 「카페 프란스」 재해석." 리터러시 연구, 16.5(2025): 799-8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