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dergraduate Team Writing using Google Docs : Combined Effects of Media Affordances and Instructional Desig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박선영(Seon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145~17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구글 워크스페이스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의 교육적 의미와 피드백 양상을 규명하고 매체와 설계의 결합이 과정 중심 글쓰기에 미치는 효과를 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C대학교 1학년 103명으로 교양필수 과목에서 팀 글쓰기 7주를 관찰했으며 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을 연계하고 댓글 제안 모드와 편집 이력을 규범과 평가에 통합했다. 또한 사전 사후 설문과 성찰일지, 강의평가 주관식을 수집해 서술적 내용분석을 수행했다. 사후에 팀 글쓰기 경험률은 45.5%에서 97.9%, 키보드 선호는 59.3%에서 87.3%로 증가했다. 효과성 인식은 팀 글쓰기 75.4%, 교수자 피드백 78.8%였고 문장 문단 향상과 창의성 체감은 각각 11.5%p와 3.0%p 증가했다.
연구 결과 칭찬 위주 코멘트는 근거와 구조 중심으로 전환되었고 제안 모드와 편집 이력은 기여 가시화와 공정성을 높였으나 참여 불균형과 인지 부담은 일부 남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undergraduate team writing in the Google Workspace environment, focusing on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feedback patterns, and the effects of aligning media affordances with instructional design on process-oriented writing.
Over seven weeks, we observed 103 first-year students at C University enrolled in a team-writing course that integrated Docs, Sheets, and Slides, as well as embedded comments, suggestion mode, and version history into norms and assessments. A descriptive content analysis of pre- and post-surveys, reflection journals, and open-ended evaluations showed increases in team-writing experience (45.5%-97.9%) and keyboard preference (59.3%-87.3%). perceived effectiveness was 75.4% for team writing and 78.8% for instructor feedback, and perceived gains in sentence and paragraph quality and creativity were 11.5 and 3.0 percentage points, respectively.
Comments shifted from praise to evidence-focused and structure-focused feedback during the course. The suggestion mode and version history enhanced contribution visibility and fairness, although some participation imbalances and cognitive load persist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디지털 협업 매체 환경
3. 수업 설계와 적용 사례
4. 매체 사용 팀 글쓰기에 대한 학습자 인식 변화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6권 5호 목차
-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글 문서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 - 매체 기능과 수업 설계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 감응력 없는 저자 - 생성형 AI 시대의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 정치적 리터러시로서 1792년 만인소 운동에 나타나는 공론 형성에 관한 연구 - 집단적 글쓰기를 통한 ‘논증기호’의 형성
- 자기반영적 글쓰기로서의 수필과 근대적 주체의 형성 - 김진섭의 수필 세계
- Z세대의 ‘진짜 같음’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 진정성, 과시적 진정성, 프로필성의 삼중 변증법을 중심으로
-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대학 소설교육의 효과성 연구
- 한국-일본 호러 장르 비교 연구 - 소용돌이형 사회구조와 상자형 사회구조의 도식적 내러티브를 통해
- 고전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 병법을 활용한 성공 전략 글쓰기를 중심으로
- 문학과 영상의 통합적 교수·학습 가능성 탐색 - 수업 실천 연구 흐름과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거짓의 역량’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 대학생 필자의 챗GPT 활용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AI 글쓰기 교과 설계 방향 설정을 위하여
- 대학 글쓰기 수업을 통한 담론 주체로서의 청년 인식 연구
- 휴타고지적 비선형 학습에서 생성적 실패의 의미 -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자기 인식
- 주제 선정 단계에서 동료 피드백의 효과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 한국어교원의 온라인 튜터링 경험과 교사 효능감 변화 -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I 읽기 환경에서 대학생 독자의 목적 설정 양상 분석 - ChatGPT를 활용한 읽기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직장문화 교육 방안 연구 - 드라마 <미생>을 활용한 문화감지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 양상 고찰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을 고려한 대화 첨삭 피드백 방안
- Z세대 대학생과 교수의 핵심역량 인식 차이 분석에 기초한 교양교육 운영 시사점 - I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문 문식성 기반의 논술형 평가 방향 탐색 - 수능 서·논술형 평가 도입의 맥락에서
- 국어과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사례 연구 -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특수 교육과정의 국어과 기본 교육과정과 일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검토⑵ -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그릿수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논술형 평가를 위한 텍스트 자질 선정 - U-KTA 활용 결과를 중심으로
- 휘문고보 개혁운동을 바탕으로 한 정지용의 「카페 프란스」 재해석
- 표면의 사건과 기억: ‘피부자아’로 읽는 최승자 시 연구 - 『이 時代의 사랑』(1981)을 대상으로
- 광기의 형식과 진실의 윤리 - 『채식주의자』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리터러시 연구 16권 5호 목차
-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글 문서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 - 매체 기능과 수업 설계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