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한국어교원의 온라인 튜터링 경험과 교사 효능감 변화 -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Pre -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Online Tutoring Experience and Changes in Teacher Self-efficacy : A Case Study of S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장현묵(Hyunmuk Jang)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555~57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한국어 튜터링이 예비 한국어교원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S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 전공에 재학 중이며, 2024학년도 1학기부터 2025학년도 1학기 사이 온라인 한국어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원생 3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교사 효능감은 Tschannen-Moran과 Hoy(2001)의 척도를 한국어교육 맥락에 맞게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회상 기반 사전-사후 평가를 통해 교육 경력 수준과 참여 시수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교사 효능감은 사전 대비 사후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특히 무경력 집단과 30시간 이상 참여 집단에서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다. 교사 효능감 하위 영역에서는 교수 전략 효능감의 상승이 가장 두드러졌으며, 학습자 참여와 수업 운영 효능감 역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튜터링이 실제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수업 구성과 운영 경험을 제공하여 교사 효능감을 강화하는 효과적인 방안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단일 대학 사례와 회상 기반 조사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으나, 온라인 튜터링이 현행 한국어 실습의 한계를 보완하고 예비 교원의 효능감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participation in online Korean language tutoring influences the teacher self-efficacy of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31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S University in Seoul, who served as online tutors between the spring semesters of 2024 and 2025. Teacher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a Korean-language adaptation of the Tschannen-Moran and Hoy (2001) scale, and a retrospective pre-post design was employed to assess changes based on prior teaching experience and total tutoring hours . The results showed that overall teacher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utoring, with the largest improvements observed among participants without prior teaching experience and those who had engaged for more than 30 hours. Among the subdomains, instructional strategy efficacy showed the most notable improvement, whereas learner engagement and lesson management efficacy displayed positive chang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nline tutoring provides pre-service teachers with authentic opportunities to plan and conduct lessons through direct interaction with learners, thereby enhancing their sense of self-efficacy. Despite limitations such as reliance on a single institutional case and retrospective self-reporting, this study highlights the educational value of online tutoring as a practical complement to formal teaching practicum and as a means of enhancing the efficacy of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현묵(Hyunmuk Jang). (2025).예비 한국어교원의 온라인 튜터링 경험과 교사 효능감 변화 -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 (5), 555-578

MLA

장현묵(Hyunmuk Jang). "예비 한국어교원의 온라인 튜터링 경험과 교사 효능감 변화 -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5(2025): 555-5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