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Youth’s Perception as Discursive Subjects through University Writing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지영(Ji Young Lee) 이소정(So Jeong Lee)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175~221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 담론을 탐구하여 현재를 살아가는 청년들의 시대감각과 자화상을조명한다. 청년을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들은 그들의 현실과 현상을 반영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청년을 주체로 다루기보다 연구대상으로만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청년 담론이 실제 청년들의 삶을 반영하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하며, 그들의 경험과 사고를 분석하여 현장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5년 1학기 K대학 교양수업 수강생들의 학습 과정을 분석하여 청년들의 자의식과 시대감각을 살펴보았다. 학습자들이 시의적 문제를 주체적으로 분석한 학술 에세이를 통해 교양교육에서의 청년 담론의 의미를 도출했으며,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주요 논제를 선정하고 심층 토론을 통해 세부 내용을 구체화하여 몰입과 능동성을 포착하였다.
우선 마인드맵을 통한 주제 선정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세대, 사회성, AI, 취업 및 진로를 공통 논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이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고 확장하며, 협동학습을 통해 개별적 주제문장을 작성하고 상호 첨삭을 통해 글의 완성도를높였다. 학습자들은 글쓰기 과정에서 청년에 대해, 특정 기준에 맞추기보다 자신만의시선과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이는 청년세대를 성글게 규정하는 대신 그들의 미시적 목소리를 듣는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학습자들은 글쓰기를 통해 자기실현과 공동체성을 경험하며, 개별적인 이야기들을 특수한 집단으로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글쓰기 수업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청년 담론의 주체로서 청년들의 경험을 조명하고, 그들이 직면한 문제와 해결방안을 탐색하며, 청년세대를 이해하는 것에기여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청년들이 사회에서 의미 있게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방향성을 제시하며, 교육 현장에서의 실천적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으며, 나아가청년 담론이 보다 포괄적이고 다차원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youth discourse to shed light on the zeitgeist and self-image of young people today. While various terms used to describe youth reflect their realities and lived experience, existing studies often position them as subjects of research rather than as active participants. Therefore,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whether youth discourse truly reflects the lives of young people. Further, it aims to ensure practical relevance by analyzing their experiences and thought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learning processes of students enrolled in a liberal arts course at K University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5 to explore their self-awareness and sense of the times. Through academic essays in which students independently analyzed relevant issues, this study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of youth discourse in liberal arts education. In this process, students selected major topics and refined details through in-depth discussions to ensure engagement and proactivity.
During the topic selection process using mind mapping, students chose generation, sociality, AI, employment, and career as common discussion topics. Centered on these topics, they embraced and explored various perspectives, crafted individual topic sentences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and enhanced the quality of their writing through peer editing. The writing process revealed that students addressed youth issues with unique perspectives and methods rather than adhering to fixed criteria, suggesting the need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hat attends to the nuanced voices of young people. Through writing, the students experienced self-realization and community, allowing them to understand and share individual stories as a unique group.
This study aimed to highlight the experiences of young people as subjects of youth discourse through the writing class, exploring the challenges they face and potential solutions, and contributing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youth. It sought to present possibilities and directions for the meaningful participation of youth in society, explore practical applications in educational settings,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a more inclusive and multidimensional development of youth discours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강의 설계
3. 논제별 분석
4. 글쓰기 사례 분석 및 학습 효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6권 5호 목차
-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글 문서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 - 매체 기능과 수업 설계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 감응력 없는 저자 - 생성형 AI 시대의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 정치적 리터러시로서 1792년 만인소 운동에 나타나는 공론 형성에 관한 연구 - 집단적 글쓰기를 통한 ‘논증기호’의 형성
- 자기반영적 글쓰기로서의 수필과 근대적 주체의 형성 - 김진섭의 수필 세계
- Z세대의 ‘진짜 같음’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 진정성, 과시적 진정성, 프로필성의 삼중 변증법을 중심으로
-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대학 소설교육의 효과성 연구
- 한국-일본 호러 장르 비교 연구 - 소용돌이형 사회구조와 상자형 사회구조의 도식적 내러티브를 통해
- 고전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 병법을 활용한 성공 전략 글쓰기를 중심으로
- 문학과 영상의 통합적 교수·학습 가능성 탐색 - 수업 실천 연구 흐름과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거짓의 역량’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 대학생 필자의 챗GPT 활용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AI 글쓰기 교과 설계 방향 설정을 위하여
- 대학 글쓰기 수업을 통한 담론 주체로서의 청년 인식 연구
- 휴타고지적 비선형 학습에서 생성적 실패의 의미 -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자기 인식
- 주제 선정 단계에서 동료 피드백의 효과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 한국어교원의 온라인 튜터링 경험과 교사 효능감 변화 -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I 읽기 환경에서 대학생 독자의 목적 설정 양상 분석 - ChatGPT를 활용한 읽기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직장문화 교육 방안 연구 - 드라마 <미생>을 활용한 문화감지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 양상 고찰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을 고려한 대화 첨삭 피드백 방안
- Z세대 대학생과 교수의 핵심역량 인식 차이 분석에 기초한 교양교육 운영 시사점 - I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문 문식성 기반의 논술형 평가 방향 탐색 - 수능 서·논술형 평가 도입의 맥락에서
- 국어과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사례 연구 -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특수 교육과정의 국어과 기본 교육과정과 일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검토⑵ -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그릿수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논술형 평가를 위한 텍스트 자질 선정 - U-KTA 활용 결과를 중심으로
- 휘문고보 개혁운동을 바탕으로 한 정지용의 「카페 프란스」 재해석
- 표면의 사건과 기억: ‘피부자아’로 읽는 최승자 시 연구 - 『이 時代의 사랑』(1981)을 대상으로
- 광기의 형식과 진실의 윤리 - 『채식주의자』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리터러시 연구 16권 5호 목차
-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글 문서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 - 매체 기능과 수업 설계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