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urface Events and Memory: Skin-Ego Reading of Choi Seung-ja’s Love in this Age (1981)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박소영(So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863~89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승자의 첫 시집 『이 時代의 사랑』(1981)에 나타나는 ‘피부’ 이미지를 매개로 시적 자아의 경계가 ‘접촉-차단-기록’의 감각적 연쇄 속에서 어떻게 형성·변형·축적되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디에 앙지외의 ‘피부자아(Skin-Ego)’ 개념을 이론적 틀로 삼아, 시집 수록 작품에서 반복되는 어휘와 장면을 ‘이미지-어휘 계열’로 분류하였다.
본 논의는 화자의 피부 표면에 남는 촉각적 사건과 그 흔적의 축적 방식에 주목하여, 감각의 작동 원리가 자아-경계의 재배치를 어떻게 유도하는지 단계적으로 추적하였다. 분석은 통각의 표면(접촉의 문법)-냉각의 경계(차단의 문법)-흉터의 기억(기록의 문법)으로 전개하였고, 각 장에서 유리/창, 물/비, 문신/흔적, 목구멍/늑골 등 표면 장치와 접촉 지점이 피부자아의 경계를 흔들고 재구획하는 양상을 면밀히 확인하였다.
그 결과, 최승자의 시에서 따뜻한 포개짐은 곧 찔림과 절단으로 전도되고, 차가움의 싸개는 접촉 회로를 정지시키며, 반복된 통증은 흉터로 고정되어 현재의 나를 과거의 감각에 이어 놓는 것으로 드러났다. 최승자 시의 자아 경계는 온전한 통합이라기보다 상처의 기억으로 유지되는 비극적 연속성에 가깝다. 이처럼 본 연구는 피부 감각과 표면 장치가 빚는 문법을 통해 최승자 시의 미적 특이성을 구체화하고, 감각 기반 독해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Choi Seung-ja’s debut collection, Love in this Age (1981), to clarify how the boundary of the poetic self is formed, reshaped, and accumulated within a sensory sequence of contact-blockade-inscription mediated by the figure of the “skin.” Adopting Didier Anzieu’s concept of the skin-ego as its theoretical framework, the analysis classifies recurrent lexemes and scenes throughout the collection into an image-lexical series.
Attending to the tactile events inscribed on the speaker’s skin surface and to the ways in which their traces accru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operations of sensation guide successive reconfigurations of the self-boundary. The argument proceeds along three axes-“the surface of nociception (the grammar of contact),” “the boundary of cooling (the grammar of blockade),” and “the memory of scars (the grammar of inscription).” In each chapter, surface devices (glass/window, water/rain, and tattoo/trace) and loci of contact (throat and ribs) are shown to unsettle and repartition the skin-ego’s boundary.
In Choi’s poems, warm overlay swiftly flips into pricking and cutting; the “cold envelope” freezes circuits of contact; and repeated pain hardens into scars that tether the present self to past sensations. The boundary of the emerging self is less an integral unity than a tragic continuity maintained by the memory of wounds. By articulating a poetics of sensation through the interplay between skin-based perception and surface devices, this study concretizes the aesthetic singularity of Choi Seung-ja’s early poetry and broadens the horizon of sensory-based interpret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통각의 표면 - 접촉의 문법
4. 냉각의 경계 - 차단의 문법
5. 흉터의 기억 - 기록의 문법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6권 5호 목차
-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글 문서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 - 매체 기능과 수업 설계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 감응력 없는 저자 - 생성형 AI 시대의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 정치적 리터러시로서 1792년 만인소 운동에 나타나는 공론 형성에 관한 연구 - 집단적 글쓰기를 통한 ‘논증기호’의 형성
- 자기반영적 글쓰기로서의 수필과 근대적 주체의 형성 - 김진섭의 수필 세계
- Z세대의 ‘진짜 같음’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 진정성, 과시적 진정성, 프로필성의 삼중 변증법을 중심으로
-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대학 소설교육의 효과성 연구
- 한국-일본 호러 장르 비교 연구 - 소용돌이형 사회구조와 상자형 사회구조의 도식적 내러티브를 통해
- 고전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 병법을 활용한 성공 전략 글쓰기를 중심으로
- 문학과 영상의 통합적 교수·학습 가능성 탐색 - 수업 실천 연구 흐름과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거짓의 역량’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 대학생 필자의 챗GPT 활용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AI 글쓰기 교과 설계 방향 설정을 위하여
- 대학 글쓰기 수업을 통한 담론 주체로서의 청년 인식 연구
- 휴타고지적 비선형 학습에서 생성적 실패의 의미 -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자기 인식
- 주제 선정 단계에서 동료 피드백의 효과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 한국어교원의 온라인 튜터링 경험과 교사 효능감 변화 -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I 읽기 환경에서 대학생 독자의 목적 설정 양상 분석 - ChatGPT를 활용한 읽기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직장문화 교육 방안 연구 - 드라마 <미생>을 활용한 문화감지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 양상 고찰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을 고려한 대화 첨삭 피드백 방안
- Z세대 대학생과 교수의 핵심역량 인식 차이 분석에 기초한 교양교육 운영 시사점 - I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문 문식성 기반의 논술형 평가 방향 탐색 - 수능 서·논술형 평가 도입의 맥락에서
- 국어과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사례 연구 -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특수 교육과정의 국어과 기본 교육과정과 일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검토⑵ -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그릿수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논술형 평가를 위한 텍스트 자질 선정 - U-KTA 활용 결과를 중심으로
- 휘문고보 개혁운동을 바탕으로 한 정지용의 「카페 프란스」 재해석
- 표면의 사건과 기억: ‘피부자아’로 읽는 최승자 시 연구 - 『이 時代의 사랑』(1981)을 대상으로
- 광기의 형식과 진실의 윤리 - 『채식주의자』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리터러시 연구 16권 5호 목차
-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글 문서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 - 매체 기능과 수업 설계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