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 Korean Workplace Culture for Business Korean Learners : Developing an Intercultural Sensitizer through the Korean TV Series Misae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박지순(Jisoon Park)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491~52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드라마 <미생>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목적의 학습자들이 한국의 직장문화를 이해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문화감지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목적이 다양해짐에 따라, 장기적으로 한국 사회에 정착하거나 심화된 교류에 참여하려는 외국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조직문화 학습을 위한 실천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의 필요성 또한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실제적인 맥락 속에서 문화적 차이를 경험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Hofstede의 문화 차원(집단주의, 권력 거리, 여성성, 장기 지향성, 불확실성 회피, 즐김)에 근거하여 <미생>의 장면을 선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문화감지도구는 드라마의 주요 장면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직장 내 문화적인 상황에 대해 생생하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문화적 민감성과 문화 간 비교문화적인 관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한다. 연구 결과, 드라마 기반 문화감지도구 사용은 한국 직장문화를 교수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으며,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습자들에게 적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tercultural sensitizer using the Korean drama Misaeng to help learners with business purposes understand and adapt to Korean workplace culture. As the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diversify,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such learning among foreigners who wish to settle in Korea for the long term or engage in deeper exchanges. Accordingly, the need for educational approaches that address Korean organizational culture has also increased. To enable learners to experience and adapt to cultural differences in realistic contexts, this study selected scenes from Misaeng based on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collectivism, power distance, femininity, long-term orientation, uncertainty avoidance, and indulgence. The intercultural sensitizer developed in this study employs key scenes from the drama to enhance learners’ understanding of cultural situations and provides feedback that fosters cultural sensitivity and the formation of intercultural perspectiv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rama-based instructional models can be effective in teaching Korean workplace culture andare potentially applicable to learner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Hofstede의 문화 차원과 한국문화의 특성
4. 드라마를 활용한 문화감지도구 개발
5. 문화감지도구 모형의 활용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6권 5호 목차
-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글 문서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 - 매체 기능과 수업 설계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 감응력 없는 저자 - 생성형 AI 시대의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 정치적 리터러시로서 1792년 만인소 운동에 나타나는 공론 형성에 관한 연구 - 집단적 글쓰기를 통한 ‘논증기호’의 형성
- 자기반영적 글쓰기로서의 수필과 근대적 주체의 형성 - 김진섭의 수필 세계
- Z세대의 ‘진짜 같음’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 진정성, 과시적 진정성, 프로필성의 삼중 변증법을 중심으로
-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대학 소설교육의 효과성 연구
- 한국-일본 호러 장르 비교 연구 - 소용돌이형 사회구조와 상자형 사회구조의 도식적 내러티브를 통해
- 고전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 병법을 활용한 성공 전략 글쓰기를 중심으로
- 문학과 영상의 통합적 교수·학습 가능성 탐색 - 수업 실천 연구 흐름과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거짓의 역량’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 대학생 필자의 챗GPT 활용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AI 글쓰기 교과 설계 방향 설정을 위하여
- 대학 글쓰기 수업을 통한 담론 주체로서의 청년 인식 연구
- 휴타고지적 비선형 학습에서 생성적 실패의 의미 -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자기 인식
- 주제 선정 단계에서 동료 피드백의 효과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 한국어교원의 온라인 튜터링 경험과 교사 효능감 변화 -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I 읽기 환경에서 대학생 독자의 목적 설정 양상 분석 - ChatGPT를 활용한 읽기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직장문화 교육 방안 연구 - 드라마 <미생>을 활용한 문화감지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 양상 고찰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을 고려한 대화 첨삭 피드백 방안
- Z세대 대학생과 교수의 핵심역량 인식 차이 분석에 기초한 교양교육 운영 시사점 - I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문 문식성 기반의 논술형 평가 방향 탐색 - 수능 서·논술형 평가 도입의 맥락에서
- 국어과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사례 연구 -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특수 교육과정의 국어과 기본 교육과정과 일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검토⑵ -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그릿수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논술형 평가를 위한 텍스트 자질 선정 - U-KTA 활용 결과를 중심으로
- 휘문고보 개혁운동을 바탕으로 한 정지용의 「카페 프란스」 재해석
- 표면의 사건과 기억: ‘피부자아’로 읽는 최승자 시 연구 - 『이 時代의 사랑』(1981)을 대상으로
- 광기의 형식과 진실의 윤리 - 『채식주의자』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리터러시 연구 16권 5호 목차
-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글 문서 기반 대학생 팀 글쓰기 - 매체 기능과 수업 설계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