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종중의 본질 및 법적 취급에 관한 재검토
이용수 23
- 영문명
- A Review on the Nature and Legal Treatment of the Clan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노한장(Hanjang No)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2호, 119~14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종중의 본질과 관련하여 대법원 판례는 고유한 의미에서의 종중이란 공동선조의 분묘를 수호하고 봉제사 및 종중원 사이의 친목도모 등을 위하여 자연발생적으로 성립하는 종족집단체로서 관습상 특별한 조직행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매장(埋葬)에서 화장(火葬)으로의 급속한 장사문화 확산, 제사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변화 및 종중구성원에 대한 판례의 변경, 그리고 후손들 친목단체로서 종중의 기능 변화 등 여러 가지 사정에 비추어 볼 때, 위와 같은 판례의 근거들은 이미 상당 부분 그 의미를 상실하였으며, 사회 구성원들의 법적 확신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종중의 본질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법인 아닌 사단들에 비하여 법적 차별취급을 하고 있는 현행 종중법 체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종중 규약 또는 관습에 따라 선출된 자를 통해 대표될 정도로 조직을 갖추어 지속적 활동을 하는 경우 학설과 판례는 이를 법인 아닌 사단으로 보고 있는바, 이러한 단체에 대해서는 민법의 사단법인에 대한 규정 중 법인격을 전제로 하는 규정을 제외한 나머지 규정을 준용 또는 유추적용해야 한다. 따라서, 일정한 요건을 갖춘 종중에 대하여 그 법적 성격을 법인 아닌 사단으로 인정하면서도 법적 규율에 있어서는 관습법이라는 이유로 특별 취급을 하는 판례의 태도는 법리적으로는 물론 헌법상 평등의 원칙에도 부합하지 아니하므로 개선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Regarding the nature of the clan, the Supreme Court's precedent believes that it is a naturally established ethnic group that protects the graves of the common ancestors of the clan in its own sense and does not require any special organizational action by custom. However, in light of various circumstances, such as the rapid spread of business culture from burial to cremation, the grounds of the above precedent have already lost their meaning to a large extent. It is also difficult to say that they are supported by the legal conviction of members of society. Based on the above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clan and to derive problems and solutions of the current clan law system, which treats legal discrimination compared to other non-corporate divisions. The attitude of precedents that recognize the legal nature of certain requirements as a non-corporate corporation, but treat them specially on the grounds of customary law in legal regulations should be improved because it does not conform to the principle of equality legally as well as constitutionall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및 본 연구의 차별성
Ⅲ. 종중의 본질에 관한 이론적 검토
Ⅳ. 종중에 대한 법적 취급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국제사회 제9권 제2호 목차
- 인공의식은 자의식을 가질 수 있는가?
- 대통령 연설문 속 ‘한류’ 담론 분석 : 의미 확장과 화용적 기능
- 사회과학적 문학작품 분석모델의 활용 : 통합 학문연구의 관점에서
- 종중의 본질 및 법적 취급에 관한 재검토
- 한국에서 포모(FOMO)와 전체주의의 연관성
- 도시거주 여성노인의 대인관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인권도시관점에서의 대구시 쟁점과 과제
- 알렉산드르 고르스키의 혁명기 발레 : 「스텐카 라진」을 중심으로
- 다국적 걸그룹 캣츠아이(KATSEYE)의 글로벌 전략 : 미디어스케이프와 에스노스케이프의 관점에서
- 해외 온천 예술관광 사례 연구 : 일본 도고, 벳푸, 독일 바덴바덴을 중심으로
- 인천 섬 지역 말 목장(馬牧場)의 현대적 계승방안 연구
- 좋은 수업을 위한 교수연구회의 수업운영 공유 및 활용 방안 모색
- PBL기반 혁신교수법이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의 ‘정신 건강’ 프로그램에 대한 가족과 교사의 참여가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 중국 산시성(山西省) 다퉁시(大同市) D 대학을 중심으로
- H대학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대학의 특성 탐색
- 중국 대학생의 혁신창업교육 정책 집행 효과 : Van Meter & Van Horn 정책집행시스템 모델에 기초한 C대학 사례 연구
- 간호대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 인식 유형 분석 : Q방법론적 접근
-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스마트폰 의존도, 학업 무기력 간의 구조관계 분석
- 청소년기 폭력피해경험과 차별가해행위의 관계에서 학교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
- 자립준비청년의 자립준비 프로그램은 자립역량을 충분히 강화하고 있는가? : 연구 간 비교와 통합적 해석
- 한국과 일본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 비교
- 한국 거주 일부 외국인의 구강건강실태 조사 연구
- 빈곤과 소외로 비인간화(No人)된 노인 출소자에 관한 생애사 연구 : 비판범죄학과 프레이리의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및 형사정책적 대안
- 정신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와 주관적 삶의만족과의 관계에서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
- 온라인 플랫폼 규제 국제규범 제도화 : 정책 전환의 모색
- 항공사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편익이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신뢰,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ECD 국가의 성평등 수준과 행복 지수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 국제규범의 차별적 내재화 메커니즘 : 환경규범과 기업인권규범의 비교분석
- 북한의 하이브리드 위협과 한국군 억제 전략에 대한 이론적 논의 : 오물·쓰레기 풍선 살포 사례를 중심으로
- Innovation and Leapfrogging in Uzbekistan's Electronics Industry : A Technology Accumulation Strategy Based on the Korean Model
-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이 한국의 대북 핵협상에 주는 함의 : 협상 변수의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 Ends and Means : Examining China, Japan, and Korea FTA Strategies from a Grand Strategic Perspective
- Analyzing the ROK, the US, and Japan’s perspectives on the Outbreak of the Panmunjom Axe Incident in 1976
- 유신정권기 한국 아동만화에 재현된 소년담론
- 누가 숙의할 수 있는가? 정치적 정체성과 교육 수준에 따른 민주적 참여의 인지적 한계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 사회문제 인식을 위한 영화 활용에 대한 연구 : K 대학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중국 삼성퇴 박물관의 관람객 체험 양상 고찰
- 블루오션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K-Pop 걸그룹의 차별화 전략 사례 연구 : 걸밴드 QWER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신경증 성격특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교적응의 순차 매개효과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에 관한 한국 사회의 담론 분석
- 한국 전략사령부의 억제 전략 연구수행을 위한 민간 학계와의 협력 방안 : 美 전략사령부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 다영역작전 관점에서 육군의 군수지원 개념 발전방향 : 美 육군의 다영역작전시 군수지원 교리와 군사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