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OECD 국가의 성평등 수준과 행복 지수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이용수  11

영문명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ality and Happiness Index in OECD Countries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이성철(SeongChul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2호, 981~100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OECD 국가의 성평등 수준과 행복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OECD 가맹국 36개국의 2013년, 2018년, 2023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고정효과 모형과 확률효과 모형 중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평등 지수는 국민의 행복 수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DP, 기대 수명 같은 통제 변수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성평등과 행복 간의 관계는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성평등의 네 가지 하위 영역 중 경제적 참여와 기회 영역과 정치적 권한 영역이 행복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교육적 성취와 건강과 생존 영역의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성평등이 국민의 행복에 미치는 인과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성평등 정책의 실효성을 강화하고, 성평등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후속연구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and happiness in OECD countries. For this purpose, a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36 OECD member countries for the years 2013, 2018, and 202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ender Gap Index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national happiness. Even after controlling for factors such as GDP and life expectanc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ality and happiness rem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four sub-dimensions of gender equality, economic participation and opportunity and political empowermen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appiness index, whereas educational attainment and health and survival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dentifi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ality and national happiness, thereby strengthening the effectiveness of gender equality policies and providing specific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gender equal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과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철(SeongChul Lee). (2025).OECD 국가의 성평등 수준과 행복 지수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과 국제사회, 9 (2), 981-1007

MLA

이성철(SeongChul Lee). "OECD 국가의 성평등 수준과 행복 지수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과 국제사회, 9.2(2025): 981-10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