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신정권기 한국 아동만화에 재현된 소년담론

이용수  10

영문명
Boy discourse represented in Korean children's comics during the Yushin regime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김대근(Daekeun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2호, 63~8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만화를 보는 두 가지 인식이 있다. 웃음을 유발하는 가벼운 볼거리라는 인식과, 다양한 방식으로 당대의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는 문화적 결과물이라는 인식이 그것이다. 이 논문은 1970년대 이상무의 아동만화 <주근깨>(1972)와 <비둘기 합창>(1978)을 소년담론의 생산이라는 관점으로 서술하였다. 당시는 박정희가 대통령 종신제를 위한 유신체제를 선언함으로 다른 어떤 시기보다 사회적 긴장이 높았던 시기였다. 박정희는 집권 초기부터 다양한 제도를 통해 만화에 대한 심의와 통제를 강화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만화의 대중적 파급력 내부에 기성 질서에 대한 저항적 성격이 있음을 간파한 정치적 전략 과정이었다. 이 논문은 유신정권기 한국 아동만화에 재현된 소년을 당대의 사회적 맥락이 만들어낸 하나의 담론으로 설정하고, 담론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데올로기와 권력의지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의 재현’, ‘고난 극복 주체로서의 소년’, ‘경쟁을 통한 승리의 획득’이라는 담론이 내재 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아동만화는 특정한 세대에 작용하는 제도이지만, 그 세대는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는 점에서 만화를 이해하는 방식이 당시의 아동은 물론 현재까지 이어지는 축적된 질서라는 시각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영문 초록

Cartoons are a lighthearted spectacle that provokes laughter, but they are also cultural outcomes that contain the ideology of the time in a variety of ways. This paper describes Lee Sang-moo's children's cartoons (1972) and (1978)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duction of boy discourse. At that time, Park Chung-hee began to strengthen the deliberation and control of cartoons through various institutions from the beginning of his administration, which was a political strategy process that recognized that there was a resistance to the established order within the mass impact of carto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boy represented in Korean children's cartoons in the 1970s as a discourse created by the social context of the time, and to reveal the ideology and will to power that exist within the discourse.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e existence of discourses such as ‘representation of the ideology of familism’, ‘boys as overcoming hardships’, and ‘acquiring victory through competition’. Children's cartoons are a system that works on a specific generation, but since that generation continues to grow, I learned that the way to understand cartoons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cumulated order that continues to the present as well as the children of the time.

목차

Ⅰ. 서론
Ⅱ. 아동만화를 둘러싼 사회적 맥락
Ⅲ. 연구결과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근(Daekeun Kim). (2025).유신정권기 한국 아동만화에 재현된 소년담론. 한국과 국제사회, 9 (2), 63-81

MLA

김대근(Daekeun Kim). "유신정권기 한국 아동만화에 재현된 소년담론." 한국과 국제사회, 9.2(2025): 63-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