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에 관한 한국 사회의 담론 분석
이용수 31
- 영문명
- Analysis of discourse in Korean society regarding North Korea's dispatch of troops to the Russian-Ukrainian war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김동훈(Dong-Hun Kim) 김법헌(BeobHe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2호, 1043~10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4년 1월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이 한반도의 안보 정세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담론 측면에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언론보도 및 포털 빅데이터 총 15,470건을 수집하였으며 텍스트마이닝과 사회연결망 분석(SNA) 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 파병에 관한 언론보도 특징은 주로 군사적 측면의 담론 및 외교 대응, 국내 정치적 반응, 국제사회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요 담론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포털 빅데이터에서는 북한 파병 병력의 규모 및 작전 수행, 피해, 드론과 같은 무기체계, 포로와 사상자 등 실질적 관련 이슈가 주요 핵심 담론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군사적 대응 전략의 강화와 외교적 대응 조치의 마련, 국민적 안보의식 제고 등의 정책적 시사점과 대응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North Korea's dispatch of troops to the Russia-Ukraine War in January 2024 on the security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discourse. To this end, a total of 15,470 domestic media reports and portal big data were collected, and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echniques were util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reports on North Korea's dispatch of troops were mainly expressed as major frames such as military-related discourse and diplomatic response, domestic political response, and impact on international security. In portal big data, the size of North Korea's dispatched troops, operational performance, damage, weapon systems such as drones, prisoners of war, and casualties were the main core discourses. Through this, policy implications and response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military response strategies, preparing diplomatic response measures, and enhancing national security awarenes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북-러 관계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경과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국제사회 제9권 제2호 목차
- 인공의식은 자의식을 가질 수 있는가?
- 대통령 연설문 속 ‘한류’ 담론 분석 : 의미 확장과 화용적 기능
- 사회과학적 문학작품 분석모델의 활용 : 통합 학문연구의 관점에서
- 종중의 본질 및 법적 취급에 관한 재검토
- 한국에서 포모(FOMO)와 전체주의의 연관성
- 도시거주 여성노인의 대인관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인권도시관점에서의 대구시 쟁점과 과제
- 알렉산드르 고르스키의 혁명기 발레 : 「스텐카 라진」을 중심으로
- 다국적 걸그룹 캣츠아이(KATSEYE)의 글로벌 전략 : 미디어스케이프와 에스노스케이프의 관점에서
- 해외 온천 예술관광 사례 연구 : 일본 도고, 벳푸, 독일 바덴바덴을 중심으로
- 인천 섬 지역 말 목장(馬牧場)의 현대적 계승방안 연구
- 좋은 수업을 위한 교수연구회의 수업운영 공유 및 활용 방안 모색
- PBL기반 혁신교수법이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의 ‘정신 건강’ 프로그램에 대한 가족과 교사의 참여가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 중국 산시성(山西省) 다퉁시(大同市) D 대학을 중심으로
- H대학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대학의 특성 탐색
- 중국 대학생의 혁신창업교육 정책 집행 효과 : Van Meter & Van Horn 정책집행시스템 모델에 기초한 C대학 사례 연구
- 간호대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 인식 유형 분석 : Q방법론적 접근
-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스마트폰 의존도, 학업 무기력 간의 구조관계 분석
- 청소년기 폭력피해경험과 차별가해행위의 관계에서 학교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
- 자립준비청년의 자립준비 프로그램은 자립역량을 충분히 강화하고 있는가? : 연구 간 비교와 통합적 해석
- 한국과 일본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 비교
- 한국 거주 일부 외국인의 구강건강실태 조사 연구
- 빈곤과 소외로 비인간화(No人)된 노인 출소자에 관한 생애사 연구 : 비판범죄학과 프레이리의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및 형사정책적 대안
- 정신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와 주관적 삶의만족과의 관계에서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
- 온라인 플랫폼 규제 국제규범 제도화 : 정책 전환의 모색
- 항공사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편익이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신뢰,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ECD 국가의 성평등 수준과 행복 지수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 국제규범의 차별적 내재화 메커니즘 : 환경규범과 기업인권규범의 비교분석
- 북한의 하이브리드 위협과 한국군 억제 전략에 대한 이론적 논의 : 오물·쓰레기 풍선 살포 사례를 중심으로
- Innovation and Leapfrogging in Uzbekistan's Electronics Industry : A Technology Accumulation Strategy Based on the Korean Model
-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이 한국의 대북 핵협상에 주는 함의 : 협상 변수의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 Ends and Means : Examining China, Japan, and Korea FTA Strategies from a Grand Strategic Perspective
- Analyzing the ROK, the US, and Japan’s perspectives on the Outbreak of the Panmunjom Axe Incident in 1976
- 유신정권기 한국 아동만화에 재현된 소년담론
- 누가 숙의할 수 있는가? 정치적 정체성과 교육 수준에 따른 민주적 참여의 인지적 한계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 사회문제 인식을 위한 영화 활용에 대한 연구 : K 대학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중국 삼성퇴 박물관의 관람객 체험 양상 고찰
- 블루오션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K-Pop 걸그룹의 차별화 전략 사례 연구 : 걸밴드 QWER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신경증 성격특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교적응의 순차 매개효과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에 관한 한국 사회의 담론 분석
- 한국 전략사령부의 억제 전략 연구수행을 위한 민간 학계와의 협력 방안 : 美 전략사령부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 다영역작전 관점에서 육군의 군수지원 개념 발전방향 : 美 육군의 다영역작전시 군수지원 교리와 군사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무연고 지역으로의 이주와 배우자의 교대근무 조건이 여성의 양육 자원 손실 경험에 미치는 맥락 탐색
- 한국과 세계 제7권 3호 목차
- 대전광역시 대덕구 용호동 탑제의 장소성과 집단기억 그리고 공동체 정체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