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스마트폰 의존도, 학업 무기력 간의 구조관계 분석

이용수  14

영문명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self-esteem, parenting attitudes, peer relationship, smartphone dependence, and academic helplessness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권성연(Soungyoun Kwon) 신소영(Soyoung Shin)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2호, 673~70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부정적 친구관계가 스마트폰 의존도 및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해 분석하고, 스마트폰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의 초등학교 4학년 코호트 6차 조사자료(2023년)를 사용하였으며, 중학교 3학년 2,2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은 스마트폰 의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친구관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부정적 친구관계와 스마트폰 의존도는 모두 학업무기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정적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은 스마트폰 의존도를 매개로 학업무기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부정적 친구관계는 스마트폰의존도를 매개로 학업무기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특히,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업무기력의 매개변수로 작용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완화하고 학업무기력을 줄이기 위해 부모의 양육방식과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을 고려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elf-esteem, and negative peer relationship on smartphone dependence and academic helplessnes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dependence. The study was conducted on 2,219 junior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2018 KCYP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dependence, while negative peer relationship had no significant effect. Seco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elf-esteem, negative peer relationship, and smartphone dependence all had significant effects on academic helplessness. Thir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smartphone dependence, but negative peer relation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s that take into account parenting attitudes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are needed to mitigate smartphone dependence and reduce academic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성연(Soungyoun Kwon),신소영(Soyoung Shin). (2025).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스마트폰 의존도, 학업 무기력 간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과 국제사회, 9 (2), 673-701

MLA

권성연(Soungyoun Kwon),신소영(Soyoung Shin).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스마트폰 의존도, 학업 무기력 간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과 국제사회, 9.2(2025): 673-7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