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에서 포모(FOMO)와 전체주의의 연관성

이용수  52

영문명
The Connection between FOMO and Totalitarianism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민세명(Se-myeong Min)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2호, 147~17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에서 디지털 기술과 소셜미디어의 확산으로 인해 심화되고 있는 포모(FOMO, Fear of Missing Out)가 전체주의적 경향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 탐구한다. 현재 한국은 높은 수준의 디지털 환경을 기반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환경은 개인이 사회적 고립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포모에 빠져들게 할 수도 있다. 포모는 분노와 혐오, 그리고 폭력성 등의 개인적 심리 현상에 그치지 않고, 소속감 욕구를 강화함으로써 집단 동조와 적대적 행위를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사회적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포모의 메커니즘은 전체주의적 메커니즘과 유사하다. 전체주의는 분열된 사회 속에서 고립된 개인들을 대상으로 하며, 이들에게 강력한 소속감을 제공함으로써 집단적 충성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문화적·기술적·정치적 상황에서 포모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디지털 환경 속에서 형성되는 포모가 전체주의적 경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whether FOMO (Fear of Missing Out), which is intensifying due to the spread of digital technology and social media in Korea, has the potential to strengthen the totalitarian trend. Currently, Korea is rapidly changing based on a high level of digital environment. This digital environment can help individuals escape social isolation, but it can also lead them to fall into FOMO. FOMO not only remains a personal psychological phenomenon, such as anger, hatred, and violence, but also strengthens group conformity and hostile behavior by strengthening the need for belonging, ultimately influencing social structures. This mechanism of FOMO is similar to the mechanism of totalitarianism. Totalitarianism targets isolated individuals in a divided society and demands collective loyalty by providing them with a strong sense of belong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FOMO in the Korea’s cultural, technological, and political situation. Through this, it aims to discuss how FOMO formed in Korea's digital environment affects totalitarian tendencies.

목차

Ⅰ. 서론
Ⅱ. 포모(FOMO)와 전체주의(Totalitarianism)의 개념과 특성
Ⅲ. 포모와 연관된 전체주의의 현상들
Ⅳ. 한국에서의 포모와 전체주의적 경향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민세명(Se-myeong Min). (2025).한국에서 포모(FOMO)와 전체주의의 연관성. 한국과 국제사회, 9 (2), 147-174

MLA

민세명(Se-myeong Min). "한국에서 포모(FOMO)와 전체주의의 연관성." 한국과 국제사회, 9.2(2025): 147-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