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An Exploration of Changes in Student Competencies and Differences by Need for Cognition Levels in a College Great Books Course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권순구(Soon Koo Kwon) 김정녀(Jeong Nyeo Kim) 윤승준(Seung Joon Yoo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3호, 105~1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대학교의 교양필수 과목으로 운영되는 ‘명저읽기’ 강좌의 교육적 성과를 분석하고, 학습자의 인지욕구 수준에 따라 성과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강좌수강생을 대상으로 학기 초와 학기 말 두 차례에 걸쳐 독해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의역량, 문제해결효능감, 학업적 흥미, 강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학기 초에 실시한 인지욕구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수강생을 상·중·하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별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전읽기 강좌는 전체 수강생의 역량, 문제해결 효능감, 학업적 흥미 및 강의 만족도에서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집단별 비교에서는 모든 역량과 문제해결 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집단 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황적 흥미는 상위 집단을 제외한 중·하위 집단에서, 개인적 흥미는하위 집단을 제외한 중·상위 집단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어 인지욕구 수준에 따라 변화의 양상이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전읽기 강좌 수강 경험이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에따라 다르게 인식되거나 받아들여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고전교육의 교육적 성과로서 학업적 흥미에 대해 일관되지 않았던 결과가 개인의 인지욕구 수준과 같은 인지적 요인에 기인한것일 수 있음을 암시하며,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전략 설계의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본 연구는고전읽기 강좌의 성과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교육 개선 방향을 고려하는 데 개인적 특성을 고려해야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outcomes of a required general education course, “Great Books Reading,” at A University and to explore differences in outcome changes based on students’ levels of need for cognition (NFC). Preand post-semester surveys were conducted to assess students’ reading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s, creativity, problemsolving efficacy, academic interest, and course satisfaction. Based on NFC scores collect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high, middle, and low groups to compare changes across groups. Overall, the resul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competencies, problem-solving efficacy, academic interest, and course satisfaction after completing the course. Group comparison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in competencies or problem-solving efficacy. However, motivational variables showed differentiated patterns: situational interes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iddle and low NFC groups, while individual interes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iddle and high NFC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responses to classical education may differ depending on cognitive traits such as need for cognition. The study also implies that inconsistent results in previous research on academic interest may be partly explained by individual differences in NFC.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learning outcomes of a Great Books course and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design that accounts for cognitive characteristic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 대학생 기초학력 진단을 위한 CAT 기반 진단체계 개발
- MBTI 과몰입 예방을 위한 해체주의 독서프로그램 연구
- AI 기반 말하기 앱의 효과성 분석과 대학 교양 영어에서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결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Guided Worksheet Intervention on Low-Achieving College English Learners : Focusing on Interes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외국인 학부생 대상 문학 토론 수업에서 대화형 AI의 언어 모델링 기능 탐색
- Exploring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of University Students on Global Citizenship Courses
- 교양교육과 기초학문 - 교양교과목으로 인정되기 위한 조건을 다시 묻다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교수자·동료·AI 피드백의 특성 및 타당도 비교 - 대학생 글쓰기의 전형적 문제를 포함한 논증적 글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로 입학한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정 탐색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