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권도시관점에서의 대구시 쟁점과 과제

이용수  37

영문명
Daegu City : Issues and Chanllenges from a Human Rights City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박가예(GaYe Park) 이경은(Keungeun Lee) 정송화(Songhua Zheng)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2호, 175~20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구시는 인권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시민들이 체감하는 인권보장 수준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인권통계와 대구시 인권 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대구시의 인권상황을 서울시, 부산시, 대전시, 광주시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구시의 인권 상담 건수는 다른 지역보다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의료 기관에서의 불합리한 대우와 관련된 인권침해 상담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차별 경험에 대한 상담에서는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때와 장애, 성희롱, 사회적 신분, 성별에 따른 차별 사례가 많았다. 또한, 상담 종결 비율은 증가했지만, 전반적인 상담 건수의 감소로 인해 실질적인 개선 효과를 체감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둘째, 대구시의 진정 접수는 최근 5년간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교육기관과 사법기관에서의 인권침해 비율이 높았다. 차별 경험에 대한 진정은 장애, 성별, 성희롱, 나이, 사회적 신분에 따른 사례가 두드러졌다. 셋째, 대구시의 인권교육 횟수와 교육 참가 인원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구시 인권정책을 보완하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인권도시로서의 실질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Daegu City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become a human rights city, yet citizens still perceive the level of human rights protection as insufficient. This study analyzes Daegu’s human rights situation using statistics from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nd the Daegu Human Rights Status Survey, comparing it with Seoul, Busan, Daejeon, and Gwangju. The analysis shows: First, the number of consultations in Daegu has declined compared to other cities, with a high proportion related to unfair treatment in medical institutions. Discrimination cases often involved public services, disabilities, sexual harassment, social status, and gender. While the case closure rate increased, the decrease in total consultations limited the perceived improvement. Second, petitions in Daegu have generally increased over the past five years, with many involving educational and judicial institutions. Discrimination-related petitions were mainly about disability, gender, sexual harassment, age, and social status. Third, human rights education sessions and participation have declined annu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strengthen Daegu’s human rights initiatives and proposes strategies for its development as a human rights city.

목차

Ⅰ. 서론
Ⅱ. 인권도시 및 대구시 인권 행정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가예(GaYe Park),이경은(Keungeun Lee),정송화(Songhua Zheng). (2025).인권도시관점에서의 대구시 쟁점과 과제. 한국과 국제사회, 9 (2), 175-204

MLA

박가예(GaYe Park),이경은(Keungeun Lee),정송화(Songhua Zheng). "인권도시관점에서의 대구시 쟁점과 과제." 한국과 국제사회, 9.2(2025): 175-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