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H대학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대학의 특성 탐색
이용수 22
- 영문명
-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Good University as Perceived by Students at H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신소영(Soyoung Shin) 최재영(Jae-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2호, 571~59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이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H대학 재학생 21명을 대상으로 좋은 대학 특성 탐색을 위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투입, 과정, 산출 단계로 구분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 범주별 주요 키워드의 빈도를 분석하여 정량적 경향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이 좋은 대학의 특성으로 가장 많이 응답한 요소는 과정 차원(학생 지원 및 복지, 교육 및 학습 활동)이였다. 다음은 투입 차원(물리적 환경, 교수진, 재정적 안정성)이 높은 응답수를 보였으며, 산출 차원(대학 명성, 연구 성과, 취업률)에 대한 응답수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좋은 대학이 되기 위한 H대학의 노력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H대학이 향후 집중해야 할 개선과제에 대한 인식에서도 비슷한 경향성을 나타내 좋은 대학에 대한 인식과 학생 경험이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좋은 대학이 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대학의 물리적 환경과 학습 지원,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학생들이 직접 경험하는 요소를 중점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이 학생중심의 좋은 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에 필요한 학생 요구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necessary for universities to continuously develop in response to students' needs. For this purpose, opinions were collected from 21 students enrolled at H University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a good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them into three stages: input, process, and output. Additionally, the frequency of key terms in each category was examined to identify quantitative trend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characteristics fell under the process stage. This was followed by the input stage, while the output stage received relatively fewer responses. Students’ perceptions of H University’s current efforts to become a good university, as well as their views on areas requiring future improvement, showed similar patterns. This suggests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what constitutes a good university are closely aligned with their actual experie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universities identify student needs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strategic approaches toward becoming more student-centered institu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국제사회 제9권 제2호 목차
- 인공의식은 자의식을 가질 수 있는가?
- 대통령 연설문 속 ‘한류’ 담론 분석 : 의미 확장과 화용적 기능
- 사회과학적 문학작품 분석모델의 활용 : 통합 학문연구의 관점에서
- 종중의 본질 및 법적 취급에 관한 재검토
- 한국에서 포모(FOMO)와 전체주의의 연관성
- 도시거주 여성노인의 대인관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인권도시관점에서의 대구시 쟁점과 과제
- 알렉산드르 고르스키의 혁명기 발레 : 「스텐카 라진」을 중심으로
- 다국적 걸그룹 캣츠아이(KATSEYE)의 글로벌 전략 : 미디어스케이프와 에스노스케이프의 관점에서
- 해외 온천 예술관광 사례 연구 : 일본 도고, 벳푸, 독일 바덴바덴을 중심으로
- 인천 섬 지역 말 목장(馬牧場)의 현대적 계승방안 연구
- 좋은 수업을 위한 교수연구회의 수업운영 공유 및 활용 방안 모색
- PBL기반 혁신교수법이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의 ‘정신 건강’ 프로그램에 대한 가족과 교사의 참여가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 중국 산시성(山西省) 다퉁시(大同市) D 대학을 중심으로
- H대학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대학의 특성 탐색
- 중국 대학생의 혁신창업교육 정책 집행 효과 : Van Meter & Van Horn 정책집행시스템 모델에 기초한 C대학 사례 연구
- 간호대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 인식 유형 분석 : Q방법론적 접근
-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스마트폰 의존도, 학업 무기력 간의 구조관계 분석
- 청소년기 폭력피해경험과 차별가해행위의 관계에서 학교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
- 자립준비청년의 자립준비 프로그램은 자립역량을 충분히 강화하고 있는가? : 연구 간 비교와 통합적 해석
- 한국과 일본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 비교
- 한국 거주 일부 외국인의 구강건강실태 조사 연구
- 빈곤과 소외로 비인간화(No人)된 노인 출소자에 관한 생애사 연구 : 비판범죄학과 프레이리의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및 형사정책적 대안
- 정신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와 주관적 삶의만족과의 관계에서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
- 온라인 플랫폼 규제 국제규범 제도화 : 정책 전환의 모색
- 항공사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편익이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신뢰,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ECD 국가의 성평등 수준과 행복 지수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 국제규범의 차별적 내재화 메커니즘 : 환경규범과 기업인권규범의 비교분석
- 북한의 하이브리드 위협과 한국군 억제 전략에 대한 이론적 논의 : 오물·쓰레기 풍선 살포 사례를 중심으로
- Innovation and Leapfrogging in Uzbekistan's Electronics Industry : A Technology Accumulation Strategy Based on the Korean Model
-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이 한국의 대북 핵협상에 주는 함의 : 협상 변수의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 Ends and Means : Examining China, Japan, and Korea FTA Strategies from a Grand Strategic Perspective
- Analyzing the ROK, the US, and Japan’s perspectives on the Outbreak of the Panmunjom Axe Incident in 1976
- 유신정권기 한국 아동만화에 재현된 소년담론
- 누가 숙의할 수 있는가? 정치적 정체성과 교육 수준에 따른 민주적 참여의 인지적 한계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 사회문제 인식을 위한 영화 활용에 대한 연구 : K 대학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중국 삼성퇴 박물관의 관람객 체험 양상 고찰
- 블루오션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K-Pop 걸그룹의 차별화 전략 사례 연구 : 걸밴드 QWER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신경증 성격특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교적응의 순차 매개효과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에 관한 한국 사회의 담론 분석
- 한국 전략사령부의 억제 전략 연구수행을 위한 민간 학계와의 협력 방안 : 美 전략사령부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 다영역작전 관점에서 육군의 군수지원 개념 발전방향 : 美 육군의 다영역작전시 군수지원 교리와 군사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무연고 지역으로의 이주와 배우자의 교대근무 조건이 여성의 양육 자원 손실 경험에 미치는 맥락 탐색
- Arising and Ceasing in an Instant (刹那生 刹那滅): Perceiving the Flow of Change in the I Ching through Hexagonal Visualization
- An Analysis of the Healing Effects of Forest Walking Combined with Medita-tion among Korean Adults: Focusing on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