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리터러시의 문학적 사례 재고 - <디지털삼척문화대전>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Rethinking literary examples of digital literacy : Focusing on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남기택(Gi-taek Nam)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1호, 675~69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디지털 리터러시 형식을 통한 문학 담론의 전유 사례를 점검하고 그에 나타난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대상으로 2018년에 제작이 완료된 <디지털삼척문화대전>의 경우를 살펴보았다. 삼척에서 현대적 문학장이 정립된 시기는 1960년대이다. 이와 관련하여 재고되어야 할 인물로는 김영준, 김종욱, 이윤자 등이 있다. 『동예』나 『불모지』는 초기의 문학 매체에 해당된다. 이들 활동과 매체가 지역 문학장의 기원 격으로 회자되고 있음에도 그에 대한 정치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삼척 현대문학의 정전으로 평가되는 작가나 작품에 대한 개관에 있어서도 오류가 발견된다. 여기에는 진인탁, 최인희, 홍영의, 박재문 등이 포함된다. 지역 문학사의 정전 격으로 취급되는 작가의 등단 매체나 대표적 작품이 실제와 다르게 공개되고 있는 현실은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디지털삼척문화대전>의 주기적 갱신도 과제이다. 특히 이성교와 관련된 콘텐츠 보완이 시급히 요청된다. 기존에 존재하는 각종 향토 사료의 오류도 점검되어야 한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수월성은 결국 온전한 콘텐츠로 확보된다. 복합적인 접근과 지역 및 학제 간 협업을 유인할 방법론이 필요한 시점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cases of appropriation of literary discourse through digital literacy and considered the problems that emerge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 which was completed in 2018. The modern literary field was established in Samcheok in the 1960s. In this regard, people who should be reconsidered include Kim Young-jun, Kim Jong-wook, and Lee Yun-ja. Dongye(『동예』) and Bulmoji(『불모지』) correspond to early literary media. Although these activities and media are talked about as the origins of the local literary field, there is a lack of detailed analysis on them. Errors are also found in the overview of writers and works that are considered canons of Samcheok modern literature. These include Jin In-tak, Choi In-hee, Hong Young-eui, and Park Jae-moon. It is a problem that the debut media and best works of writers who are treated as canon of local literary history are being revealed differently from what they actually are. Periodic renewal of the is also a task. In particular, supplementation of content related to Lee Seong-gyo is urgently requested. Errors in various existing local sources should also be checked. Excellence in digital literacy is ultimately secured through complete content. This is a time when a complex approach and a methodology that will encourage regional an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re needed.

목차

1. 머리말
2. 현대적 문학장의 정립
3. 정전의 재구성
4. 미완의 데이터베이스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기택(Gi-taek Nam). (2025).디지털 리터러시의 문학적 사례 재고 - <디지털삼척문화대전>을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 (1), 675-698

MLA

남기택(Gi-taek Nam). "디지털 리터러시의 문학적 사례 재고 - <디지털삼척문화대전>을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1(2025): 675-6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