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론에 나타난 시각적 재현의 정치성

이용수  3

영문명
Naturalizing political hierarchy : Visual Representation in Aristotelian Mimesis and the Alexander Mosaic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손원정(Wonjung Sohn)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1호, 577~60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론이 재현을 통해 정치적 위계를 자연화하는 방식을 『알렉산더 모자이크』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시학』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주로 비극의 형식적 구조나 극작술의 원리 규명에 초점을 맞춰왔다면, 이 연구는 재현 체계에 내재된 정치적 함의를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특히 이러한 접근은 예술적 재현이 어떻게 특정한 권력관계를 자연스러운 질서로 전환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는 재현의 정치성이 아리스토텔레스 이론에서 차지하는 근본적 위치를 이해하는 계기가 된다. 특히 『알렉산더 모자이크』의 서사적 재현 방식 분석을 통해 권력관계가 어떻게 보편적 질서로 정당화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시각적 재현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상세히 살펴본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론은 감각적 경험을 이성적 질서로 전환하면서 소유집단을 중심으로 한 특정한 권력 관계를 보편적인 것으로 정당화하는 체계로 작동했다. 이는 재현이 단순한 모방을 넘어 정치적 질서를 구축하는 체계적 기제로 기능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연극에서 재현과 권력의 관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Aristotle’s theory of mimesis naturalizes political hierarchy through visual representation, focusing on the Alexander Mosaic as a key case study. While previous scholarship on Aristotle’s Poetics has primarily focused on dramatic composition and theatrical principles, this study offers a fresh perspective by analyzing how visual art embodies and legitimizes power relations. Through a close reading of the Alexander Mosaic, this study reveals the sophisticated visual grammar that depicts political relationships between Greeks and Persians. This analysis demonstrates how Aristotelian mimesis operates beyond mere artistic representation and functions as a systematic framework that transforms sensory experience into rational order.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how the mosaic’s compositional elements—spatial organization, figure placement, and gestural dynamics—serve to naturalize hierarchical relationships.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on and power in classical aesthetics. By examining how visual elements are structured to render power relations as part of a universal order, this study illuminates the political dimensions inherent in Aristotle’s theory of mimesis. This analysis provides key insights into how aesthetic theory validates specific modes of seeing and representing power relationships.

목차

1. 서론
2. 시각에서 언어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와 재현의 정치학
3. 정치적 위계의 자연화: 아리스토텔레스적 미메시스에서의 보편성과 권력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원정(Wonjung Sohn). (2025).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론에 나타난 시각적 재현의 정치성. 리터러시 연구, 16 (1), 577-602

MLA

손원정(Wonjung Sohn).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론에 나타난 시각적 재현의 정치성." 리터러시 연구, 16.1(2025): 577-6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