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이용수 57
-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General-Purpose Korean-Language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소영(Soyoung Kim) 윤영(Young Yu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1호, 317~366쪽, 전체 5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8,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이 필요하며 중요하다는 인식이 자리를 잡아가면서 관련 연구가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연구의 주제 또한 다변화되었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문화교육이 적극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일반목적 학습자 대상 문화교육에 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았으며, 한국어 교재의 문화 영역을 분석하여 문화의 주제 및 내용, 제시 방법, 상호문화교육 반영 여부 등을 검토하였다. 이후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문화교육 현황과 만족도, 요구 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 현장에서 반영할 수 있는 문화교육의 방향을 일곱 가지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주요 교재의 문화 영역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교사 및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화교육 현황 및 요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한 후 한국문화교육의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Recent years have s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Korean-language cultural education studies, i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field, and the scope of these studies has diversified. However, cultural education has not yet been actively addressed in educational setting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general-purpose Korean-language learners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it first reviews the necessity of and existing research on cultural education for general-purpose learners. It then analyzes the cultural components of Korean-language textbooks, examining the topics and content related to culture, presentation methods, and inclus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Furthermore, it conducts a survey of Korean-language teachers and learner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language classrooms, as well as their satisfaction levels and demands. Based on these findings, it proposes seven directions for the future implementation of cultural education in classroom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critically analyzes the cultural content of major textbooks for general-purpose Korean-language learners, identifies issues, and proposes measures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specific status and needs of teachers and learners.
목차
1. 서론
2.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한국문화교육
3.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교재 내 문화 분석
4. 한국문화교육 현황 및 요구 분석
5.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문화교육 개선 방향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학을 활용한 도덕시민교육연구 - 노동을 중심으로
-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론에 나타난 시각적 재현의 정치성
- 다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등장인물 구성 분석 연구
- 진은영 시에 나타난 환상성 구현 방식과 의미
- 문화적 차원 이론 기반의 의사소통 특성 측정 도구 개발
- 김승옥 SF 소설 연구 - 「50년 후, Dπ9 기자의 어느 날」의 연구사적 함축에 대하여
- 의료진의 의사소통 평가 내용 체계 재구조화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사례 - 논문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글쓰기 윤리 실천을 위한 디지털 기반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인식과 작성물 비교를 중심으로
- 곽씨부인, 뺑덕어미, ‘심청(沈睛)’의 공백 - 신재효본 <심청가(沈睛歌)>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의 중간언어 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 필자의 쓰기 인식과 쓰기 전략 운용 양상 및 연관성에 대한 고찰
- 사설시조에 수용된 대화체의 양상과 시적 효과
- 리터러시 연구 16권 1호 목차
-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 미술사 교육 - 디지털 리터러시
- 포토에세이 쓰기에 나타난 RC 거주 대학생들의 ‘장소애’의 의미 고찰
- 저학년 대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에서의 전이 가능한 저자성
- 문학 교육에서 현대시 삽화 연구
-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지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장르 기반 글쓰기 교육을 위한 학술논문 초록의 이동마디 분석
- 1990년대 이후 중국조선족 도시화 서사 연구 - 김혁의 『국자가에 서있는 그녀를 보았네』, 금희의 『천진시절』을 중심으로
- 해외 대학 한국어교육 환경에서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류 사례 연구 - 한일 대학생 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 디지털 리터러시의 문학적 사례 재고 - <디지털삼척문화대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시각장애 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관련 학술지 게재 논문 동향 분석 (2020년~2024년‘시각장애연구’발행호를 중심으로)
- 오케스트라에서 시각장애학생을 지도한 교사의 자문화기술지
- 점자교원 자격제도 및 점자능력 검정시험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