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곽씨부인, 뺑덕어미, ‘심청(沈睛)’의 공백 - 신재효본 <심청가(沈睛歌)>를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The Narrative Gaps of Lady Gwak, Baengdeok-eomi, and ‘Simcheong’ : Focusing on Sin Jae-hyo’s Simcheongga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최빛나라(Bitnara Choi)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1호, 627~6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신재효본 <심청가>에 내재한 ‘공백’과 이를 보완하는 ‘중개’의 서사적 장치를 중심으로, 곽씨부인·뺑덕어미·심청의 행적을 면밀히 분석하여 고전의 ‘다시 읽기’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신재효본 <심청가>는 단순히 심봉사의 개안을 위한 효녀의 희생 서사에 국한되지 않고, 곽씨부인·뺑덕어미·심청이 여러 층위의 공백을 메우고 동시에 새로운 공백을 생성하는 주체로 작용하는 ‘중개 서사’의 독특한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봉사의 ‘안맹(眼盲)’이라는 절대적 결손은 단순한 불완전함이 아니라, 곽씨부인·뺑덕어미·심청의 행위를 통하여 보완됨으로써 서사 전개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심청은 ‘심봉사의 눈망울’이라는 이름 자체가 상징하듯, 부친의 신체적·정서적 결손을 극복하는 결정적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서사적 특성을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개작자 신재효가 추구한 서술적 전략을 확인하고, 나아가 고전 텍스트에 내재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narrative devices of “gap” and the “mediation” that supplements it in Sin Jae-hyo’s version of Simcheongga by closely analyzing the actions of its key characters—Lady Gwak, Baengdeok-eomi, and Simcheong—to explore new possibilities for re-reading the text. The findings reveal that Sin Jae-hyo’s Simcheongga is not confined to a sacrificial filial narrative aimed solely at restoring Simbong’s sight. Rrather, it exhibits a unique “mediation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Lady Gwak, Baengdeok-eomi, and Simcheong act as agents who simultaneously fill and create multiple layers of gaps. The absolute deficiency of Simbong, referred to as “anmang” (blindness), is not merely a flaw bu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narrative development as it is compensated for through the actions of Lady Gwak, Baengdeok-eomi, and Simcheong. In particular, as her very name—Simcheong—symbolizes “Simbong’s eyes,” she plays a decisive role in overcoming her father’s physical and emotional deficiencies. By shedding new light on these narrative features, this study confirms the narrative strategy pursued by the reviser, Sin Jae-hyo, and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range of interpretative possibilities inherent in classical texts.
목차
1. 들어가며: 신재효본 <심청가> 다시 읽기
2. 곽씨부인과 뺑덕어미의 공백
3. 심봉사의 눈망울, 심청의 공백
4. 나가며: 공백을 채우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곽씨부인, 뺑덕어미, ‘심청(沈睛)’의 공백 - 신재효본 <심청가(沈睛歌)>를 중심으로
- 글쓰기 윤리 실천을 위한 디지털 기반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인식과 작성물 비교를 중심으로
- 의료진의 의사소통 평가 내용 체계 재구조화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중간언어 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 필자의 쓰기 인식과 쓰기 전략 운용 양상 및 연관성에 대한 고찰
- 사설시조에 수용된 대화체의 양상과 시적 효과
- 리터러시 연구 16권 1호 목차
- 문화적 차원 이론 기반의 의사소통 특성 측정 도구 개발
-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 미술사 교육 - 디지털 리터러시
- 포토에세이 쓰기에 나타난 RC 거주 대학생들의 ‘장소애’의 의미 고찰
- 저학년 대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에서의 전이 가능한 저자성
- 문학 교육에서 현대시 삽화 연구
-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지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등장인물 구성 분석 연구
- 장르 기반 글쓰기 교육을 위한 학술논문 초록의 이동마디 분석
- 문학을 활용한 도덕시민교육연구 - 노동을 중심으로
- 대학 글쓰기 수업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사례 - 논문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1990년대 이후 중국조선족 도시화 서사 연구 - 김혁의 『국자가에 서있는 그녀를 보았네』, 금희의 『천진시절』을 중심으로
- 진은영 시에 나타난 환상성 구현 방식과 의미
- 김승옥 SF 소설 연구 - 「50년 후, Dπ9 기자의 어느 날」의 연구사적 함축에 대하여
- 해외 대학 한국어교육 환경에서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류 사례 연구 - 한일 대학생 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론에 나타난 시각적 재현의 정치성
- 디지털 리터러시의 문학적 사례 재고 - <디지털삼척문화대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 수학 교과서 도입부의 글과 삽화 제시 방법에 따른 학생 시선의 특성
- 유아의 계획 및 난이도 예측의 발달: fNIRS 연구
- 과학 교과 온톨로지 개발과정에서 내용 전문가들이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