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토에세이 쓰기에 나타난 RC 거주 대학생들의 ‘장소애’의 의미 고찰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of ‘Topophilia’ of RC Students in Photo Essay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도희(Do Hee Kim)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1호, 209~23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토에세이에 반영된 RC 거주 대학생들의 RC에 대한 ‘장소애’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포토에세이 글쓰기의 과정에서 RC라는 공간을 인식하고 재조명함으로써 학생들에게 RC는 물리적 좌표로서의 단순한 정주 공간이 아닌 삶을 영위하고 정체성을 형성해 가는 장소로서 의미를 지닌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장소애’로 표현될 수 있는데, 포토에세이에 드러난 RC 거주 대학생들의 RC에 대한 ‘장소애’의 의미는 3가지로 이해된다. RC라는 장소에 대해 느끼는 애착은 RC를 공유하는 서로에 대한 이해와 소통, 타인에 대한 배려라는 사실과 함께 대학생들이 느끼는 공동체에 대한 정서적 연대감이라는 측면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RC에서의 경험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어떤 가치를 지향하는지, 어떤 사람으로 성장하고 싶은지를 명확히 할 수 있는 성찰과 성장이라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대학생들이 가지는 RC에 대한 정서적 애착인 ‘장소애’는 자아를 넘어 공동체, 외부 세계로 향하게 됨으로써 개인의 삶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대학생들의 RC에서의 성장 기록으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포토에세이 글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Topophilia’ for RC(Residential College) among college students living in RC reflected in the photo essay. By recognizing and re-examining the space RC in the process of writing the photo essay, it was confirmed that RC has a meaning for students as a place to live and form an identity, not a simple settlement space as a physical coordinate. This can be expressed as ‘Topophilia’, and the meaning of ‘Topophilia’ for RC by college students living in RC revealed in the photo essay is understood in three ways. The attachment to the place RC is the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f each other who share RC, and the aspect of the emotional solidarity college students feel for the community. In addition, through experience at RC, it is possible to infer the fact that it is reflection and growth that can clarify what values students aim for themselves and what kind of person they want to grow into. The ‘Topophilia’, which is an emotional attachment to RC among college students, continuously affects the lives of individuals by heading beyond themselves to the community and the outside world. The meaning and value of college students as a record of growth in RC could be confirmed through photo essay writing.
목차
1. 서론
2. ‘RC’라는 장소 인식과 글쓰기
3. 포토에세이를 통해 본 ‘장소애’의 의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곽씨부인, 뺑덕어미, ‘심청(沈睛)’의 공백 - 신재효본 <심청가(沈睛歌)>를 중심으로
- 글쓰기 윤리 실천을 위한 디지털 기반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인식과 작성물 비교를 중심으로
- 의료진의 의사소통 평가 내용 체계 재구조화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중간언어 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 필자의 쓰기 인식과 쓰기 전략 운용 양상 및 연관성에 대한 고찰
- 사설시조에 수용된 대화체의 양상과 시적 효과
- 리터러시 연구 16권 1호 목차
- 문화적 차원 이론 기반의 의사소통 특성 측정 도구 개발
-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 미술사 교육 - 디지털 리터러시
- 포토에세이 쓰기에 나타난 RC 거주 대학생들의 ‘장소애’의 의미 고찰
- 저학년 대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에서의 전이 가능한 저자성
- 문학 교육에서 현대시 삽화 연구
-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지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등장인물 구성 분석 연구
- 장르 기반 글쓰기 교육을 위한 학술논문 초록의 이동마디 분석
- 문학을 활용한 도덕시민교육연구 - 노동을 중심으로
- 대학 글쓰기 수업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사례 - 논문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1990년대 이후 중국조선족 도시화 서사 연구 - 김혁의 『국자가에 서있는 그녀를 보았네』, 금희의 『천진시절』을 중심으로
- 진은영 시에 나타난 환상성 구현 방식과 의미
- 김승옥 SF 소설 연구 - 「50년 후, Dπ9 기자의 어느 날」의 연구사적 함축에 대하여
- 해외 대학 한국어교육 환경에서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류 사례 연구 - 한일 대학생 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론에 나타난 시각적 재현의 정치성
- 디지털 리터러시의 문학적 사례 재고 - <디지털삼척문화대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 초등영어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 탐색 연구
- 영유아 학부모의 통합돌봄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유보통합의 필요성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