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필자의 쓰기 인식과 쓰기 전략 운용 양상 및 연관성에 대한 고찰
이용수 14
- 영문명
- A Discussion on College Student Writers’ Writing Awareness, Writing Strategy Use, and the Interrelatedness of Both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장지혜(Ji-hye Jang)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1호, 109~147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필자의 쓰기 인식과 쓰기 전략 운용 양상 및 연관성을 탐색하고 이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4명의 대학생 필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설문지와 성찰적 에세이를 활용하여 양적·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 분석과 해석적 분석을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통계적 분석 결과 필자의 쓰기 인식과 쓰기 전략 운용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는 ‘계획하기 전략’이나 ‘고쳐쓰기 전략’의 경우 필자의 선호나 습관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운용되고 있음을 뜻한다.
다만 해석적 분석 결과 학생들은 쓰기 상황에 따라 쓰기에 대한 긍·부정의 양가적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이는 선별적인 쓰기 전략의 운용으로 이어졌다. 또한 쓰기 전략에 대해 갖고 있는 고정적 인식이 쓰기 전략의 비효율적 운용으로 이어지기도 하였으며, 습관적인 전략 운용 양상이 두드러졌다. 쓰기 과정에 대한 고유한 인식을 토대로 다양한 쓰기 전략을 활발히 운용하는 모습도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필자 개인의 일반적·상황적 쓰기 인식을 두루 고려한 맞춤형 교육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 능숙한 필자의 쓰기 전략을 일방적으로 교수·학습하기보다는 학생이 자신만의 쓰기 전략을 성찰하고 자기 조절의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이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도록 하는 방식의 쓰기 전략 지도가 요구된다는 것, 최적화된 쓰기 전략을 체화할 수 있는 충분한 실천적 경험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 학생들이 운용하는 쓰기 전략의 다양성을 포괄할 수 있는 쓰기 교육 내용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교육적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student writers’ writing awareness and patterns of writing strategy use, identified the interrelatedness of both, and derived educational implications. To this end, it conducted both statistical and interpretive analyses, and collec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from 24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reflective essays. Th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ers’ writing awareness and their use of writing strategi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finding suggested that, at least in the case of “planning strategies” and “revision strategies,” writers may choose strategies based on their preferences, habits, or tendencies. However, interpretive analysis indicated that students held ambivalent perceptions—both positive and negative—of writing, which influenced their selective use of writing strategies. Moreover, fixed perceptions of writing strategies can lead to inefficient strategy usage. Conversely, students actively employed various writing strategies based on their unique perceptions of writing.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a tailored educational approach that considers individual writers’ general and situational writing awareness to enhance their writing education. Rather than merely adopting the strategies of skilled writers,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reflect on their own writing strategies and develop self-regulation to further refine them. Additionally, writing education should incorporate diverse content and strategies to accommodate the wide range of writing approaches employed by students.
목차
1. 머리말
2. 선행 연구
3. 연구 대상 및 방법
4. 연구 결과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학을 활용한 도덕시민교육연구 - 노동을 중심으로
-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론에 나타난 시각적 재현의 정치성
- 다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등장인물 구성 분석 연구
- 진은영 시에 나타난 환상성 구현 방식과 의미
- 문화적 차원 이론 기반의 의사소통 특성 측정 도구 개발
- 김승옥 SF 소설 연구 - 「50년 후, Dπ9 기자의 어느 날」의 연구사적 함축에 대하여
- 의료진의 의사소통 평가 내용 체계 재구조화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사례 - 논문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글쓰기 윤리 실천을 위한 디지털 기반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인식과 작성물 비교를 중심으로
- 곽씨부인, 뺑덕어미, ‘심청(沈睛)’의 공백 - 신재효본 <심청가(沈睛歌)>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의 중간언어 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 필자의 쓰기 인식과 쓰기 전략 운용 양상 및 연관성에 대한 고찰
- 사설시조에 수용된 대화체의 양상과 시적 효과
- 리터러시 연구 16권 1호 목차
-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 미술사 교육 - 디지털 리터러시
- 포토에세이 쓰기에 나타난 RC 거주 대학생들의 ‘장소애’의 의미 고찰
- 저학년 대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에서의 전이 가능한 저자성
- 문학 교육에서 현대시 삽화 연구
-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지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장르 기반 글쓰기 교육을 위한 학술논문 초록의 이동마디 분석
- 1990년대 이후 중국조선족 도시화 서사 연구 - 김혁의 『국자가에 서있는 그녀를 보았네』, 금희의 『천진시절』을 중심으로
- 해외 대학 한국어교육 환경에서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류 사례 연구 - 한일 대학생 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 디지털 리터러시의 문학적 사례 재고 - <디지털삼척문화대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