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설시조에 수용된 대화체의 양상과 시적 효과
이용수 10
- 영문명
- The Actualization Patterns and The Poetic Effects of Dialogue Accepted in Saseol-Sijo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정종진(Jong-jin Jeong)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1호, 149~17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화체라는 극적 전달방식의 수용이 사설시조에 미친 영향이 어떠한가라는 관점에서 대화체의 실현 양상과 그 시적 효과들을 살펴본 것이다.
대화체는 1인칭 시적 화자인 나(I)와 작중 인물로서의 화자(C) 그리고 서술적 화자(N)의 관계양상에 따라 ‘I-C’의 유형과 ‘C'-C''’의 유형 그리고 ‘I/C-C-N’ 유형 등 세 방식으로 실현되었다.
대화체 수용이 사설시조에 미친 시적 효과는 일상의 재현과 관념성의 약화, 인물쌍방적 목소리와 화·청자 거리의 변화, 극적 장면제시와 갈등의 전경화, 그리고 역전과 거리화를 통한 웃음의 형상화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나타났는데, 이들 효과는 사설시조의 장르적 성격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대화체라는 간접 제시 방식의 수용이 지니는 의의는 전통적 제시방식으로부터 변화를 가져옴에 따라 미적 형식을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도 수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데 있다. 대화체 수용이라는 새로운 시도에는 시인이 더 이상 작품의 주도적 주체가 아닐 수 있다는 인식, 그리고 시의 관념이나 주제보다는 그것을 형상화하는 과정 자체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할 수 있다는 인식이 깔려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dramatic method of dialogue on the Saseol-Sijo. To this end, the actualization patterns and poetic effects of each type of dialogue were examined.
The dialogue were realized in three types. And poetic effects are four types of visual effects: daily representation and weakening of idealism, changes in the distance between speech and audience, dramatic scene presentation and foregrounding of conflict, and the formation of laughter through reversal and distancing. These effects influenced the change in the genre character of the Saseol-Sijo.
The significance of the acceptance of dialogue in Saseol-Sijo is that it may have been accompanied by a change in perception of the aesthetic form as it brings about a change from the traditional presentation method.
This is because the new attempt of dialogue acceptance may be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he poet may no longer be the leading subject of the work, and that the process of embodying it itself may be more important than the idea or subject of the poem.
목차
1. 서론
2. 사설시조에 수용된 대화체의 양상
3. 사설시조에 수용된 대화체의 시적 효과
4. 결론: 사설시조의 대화체 수용의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학을 활용한 도덕시민교육연구 - 노동을 중심으로
-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론에 나타난 시각적 재현의 정치성
- 다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등장인물 구성 분석 연구
- 진은영 시에 나타난 환상성 구현 방식과 의미
- 문화적 차원 이론 기반의 의사소통 특성 측정 도구 개발
- 김승옥 SF 소설 연구 - 「50년 후, Dπ9 기자의 어느 날」의 연구사적 함축에 대하여
- 의료진의 의사소통 평가 내용 체계 재구조화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사례 - 논문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글쓰기 윤리 실천을 위한 디지털 기반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인식과 작성물 비교를 중심으로
- 곽씨부인, 뺑덕어미, ‘심청(沈睛)’의 공백 - 신재효본 <심청가(沈睛歌)>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의 중간언어 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 필자의 쓰기 인식과 쓰기 전략 운용 양상 및 연관성에 대한 고찰
- 사설시조에 수용된 대화체의 양상과 시적 효과
- 리터러시 연구 16권 1호 목차
-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 미술사 교육 - 디지털 리터러시
- 포토에세이 쓰기에 나타난 RC 거주 대학생들의 ‘장소애’의 의미 고찰
- 저학년 대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에서의 전이 가능한 저자성
- 문학 교육에서 현대시 삽화 연구
-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지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장르 기반 글쓰기 교육을 위한 학술논문 초록의 이동마디 분석
- 1990년대 이후 중국조선족 도시화 서사 연구 - 김혁의 『국자가에 서있는 그녀를 보았네』, 금희의 『천진시절』을 중심으로
- 해외 대학 한국어교육 환경에서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류 사례 연구 - 한일 대학생 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 디지털 리터러시의 문학적 사례 재고 - <디지털삼척문화대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