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in Referring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Eligibil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윤애영(Ae Young Yoon) 이미숙(Misuk Lee)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7권 제2호, 55~8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의뢰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의뢰 과정에서의 어려움 및 필요한 지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의뢰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전사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 방법을 통해 코딩하고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쳐 주요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의뢰 경험이 있는 담임교사들은 학기 초부터 특수교육대상자 발견하지만 짧은 관칠 시간, 경험 부족, 보호자와의 갈등을 이유로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의뢰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의뢰 절차가 개선되기 위해 교사의 자율성 보장, 사전 진단 자료의 개발, 다른 학생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토대로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 방안으로 특수교육대상자 조기 발견 체계, 의뢰 과정의 교권 보호, 의뢰 전 중재, 장애 이해 교육 강화 등의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in referring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eligibility, focusing on the challenges they encountered and the support they deemed necessary throughout the referral process. Method: I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referring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eligibility. The interviews were based on a semi-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transcribed data were coded and categorized through a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o identify key themes. Results: Homeroom teachers with experience in referring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eligibility often identified students in need of special support early in the school year. However, they faced difficulties in initiating the referral process due to limited observation time, lack of experience, and potential conflicts with parents.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the referral procedure, including ensuring teacher autonomy, developing preliminary screening tools, and providing education for other student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pport measures are proposed to assist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in referring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eligibility: establishing an early identification syste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protecting teachers’ professional authority during the referral process, providing pre-referral interventions, and strengthening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Academy Press
-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 The Journal of Education
- Special Education Research
- The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 Handbook of narrative inquiry: mapping a methodology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