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학년 대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에서의 전이 가능한 저자성
이용수 20
- 영문명
- Transferable authorship in writing courses for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부순(Boo Soon Lee)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1호, 233~26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이 가능한 저자성’의 관점에서 저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저자성 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 저자성 교육의 기본 원칙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전이 가능한 저자성’의 개념과 구성요소, 저학년 학습자의 위상을 규명하고, 저학년 학습자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의 기본 원칙을 제시했다.
‘전이 가능한 저자성’은 여러 이질적인 학문 공동체의 담화에 기반한 전공 글쓰기 영역이나, 학습자들이 만나게 될 다양한 맥락에 전이하여 구현할 수 있는 저자성을 뜻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대학의 저학년 학습자는 ‘저자성을 가진 글쓰기’를 지향하는 초보 글쓴이로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소통하는 다층적이고 역동적인 저자로 간주될 필요성을 규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저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저자성 강화 수업을 설계할 때 고려할 필요가 있는 기본 원칙 두 가지를 제안했다. 첫째, 학습자들이 저자로서의 자기 인식을 내재화할 수 있는 계기들을 수업의 전체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둘째, ‘글쓰기에 이르는 과정(Coming to writing)’을 확충하여 긴 시간적 흐름 속에서 상호텍스트적 탐구와 소통의 역동적 과정을 충실히 수행하는 활동을 활성화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uthorship education targeting lower-year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ferable authorship and to propose fundamental principles for designing such education. Accordingly, the research identifie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ransferable authorship, examines the status of lower-year students, and provides guiding principles for constructing writing courses tailored to this group.
The concept of ‘transferable authorship’ is utilized to denote an authorship that can transition and manifest across various academic discourses and diverse contexts that learners may encounter. Lower-year students are characterized as novice writers aspiring toward ‘authorial writer’ and are framed as multilayered, dynamic authors engaged in communication within sociocultural contexts.
Building on this framework, the study proposes two fundamental principles for designing authorship-enhancing courses for lower-year students. First,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internalize self-awareness as authors must be continuously provided throughout the entire course of the class. Second, the ‘Coming to writing’ process must be expanded to activate activities that faithfully carry out the dynamic process of intertextual inquiry and communicat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목차
1. 머리말
2. 저학년 학습자 대상 글쓰기 수업에서의 전이 가능한 저자성
3. 저학년 학습자 대상 전이 가능한 저자성 교육의 기본 원칙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학을 활용한 도덕시민교육연구 - 노동을 중심으로
-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론에 나타난 시각적 재현의 정치성
- 다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등장인물 구성 분석 연구
- 진은영 시에 나타난 환상성 구현 방식과 의미
- 문화적 차원 이론 기반의 의사소통 특성 측정 도구 개발
- 김승옥 SF 소설 연구 - 「50년 후, Dπ9 기자의 어느 날」의 연구사적 함축에 대하여
- 의료진의 의사소통 평가 내용 체계 재구조화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사례 - 논문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글쓰기 윤리 실천을 위한 디지털 기반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인식과 작성물 비교를 중심으로
- 곽씨부인, 뺑덕어미, ‘심청(沈睛)’의 공백 - 신재효본 <심청가(沈睛歌)>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의 중간언어 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 필자의 쓰기 인식과 쓰기 전략 운용 양상 및 연관성에 대한 고찰
- 사설시조에 수용된 대화체의 양상과 시적 효과
- 리터러시 연구 16권 1호 목차
-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 미술사 교육 - 디지털 리터러시
- 포토에세이 쓰기에 나타난 RC 거주 대학생들의 ‘장소애’의 의미 고찰
- 저학년 대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에서의 전이 가능한 저자성
- 문학 교육에서 현대시 삽화 연구
-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지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장르 기반 글쓰기 교육을 위한 학술논문 초록의 이동마디 분석
- 1990년대 이후 중국조선족 도시화 서사 연구 - 김혁의 『국자가에 서있는 그녀를 보았네』, 금희의 『천진시절』을 중심으로
- 해외 대학 한국어교육 환경에서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류 사례 연구 - 한일 대학생 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 디지털 리터러시의 문학적 사례 재고 - <디지털삼척문화대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