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 미술사 교육 - 디지털 리터러시

이용수  22

영문명
Digital Literacy in Korean Art History Education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정송이(Song-yi Jung)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1호, 261~28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디지털 한국미술사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한다. 디지털 전환 시대에 대응하여, 스몰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비정형 데이터의 정형화, 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등 디지털 기술을 한국미술사 교육에 적용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CHArt, PHAROS 프로젝트, 듀크대학교 디지털 미술사 석사과정 등의 해외 연구 및 교육 사례와 국내 한국미술사 교육 사례를 분석하여 실질적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PBL(Project-Based Learning) 기반의 15주차 ‘디지털 한국미술사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구축’ 강의안을 제안하여 학생들이 데이터를 직접 처리하고 분석하며 창의적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교육이 한국미술사 연구의 학문적 신뢰도를 강화하고, 협업과 응용력을 증진시키며,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연구자 양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new directions for Korean art history education by focusing on digital literacy and its integration into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the study explores specific applications of digital technologies in Korean art history education, such as the construction of small-scale databases, the digitalization of unstructured data into structured formats, and the visualization of data using semantic network graphs. By analyzing inter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al case studies, including CHArt, PHAROS projects, and Duke University’s Digital Art History master’s program, as well as domestic examples in Korean art history education, the study evaluates practical applicability. Furthermore, a 15-week Project-Based Learning (PBL) curriculum titled “Building a Semantic Database for Digital Korean Art History” is proposed. This curriculum is designed to enable students to process and analyze data independently while producing creative outcomes. The study emphasizes that integrating digital literacy into education can enhance academic reliability in Korean art history research, foster collaboration and application skills, and contribute to training researchers equipped for the digital age.

목차

1. 서론
2. 디지털 미술사의 정의와 국제적 발전 사례
3.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접근법과 인문학의 융합 가능성
4. 디지털 한국미술사 수업 방안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송이(Song-yi Jung). (2025).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 미술사 교육 - 디지털 리터러시. 리터러시 연구, 16 (1), 261-288

MLA

정송이(Song-yi Jung).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 미술사 교육 - 디지털 리터러시." 리터러시 연구, 16.1(2025): 261-2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