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은영 시에 나타난 환상성 구현 방식과 의미
이용수 12
- 영문명
- The Realization Method and Meaning of Illusion in Jin Eun-You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신정아(Junga Shin) 김태수(Taesoo Kim)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1호, 603~62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현실에서 결코 충족되지 않을 가치를 실현시키고자 창조된 진은영 시의 환상적 시공간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로 어린 화자를 내세워 체험을 고백하는 시에는 다음 세 가지의 형상화 방식이 활용된다.
첫째, 진은영의 시는 잠재적이고 본능적인 갈등과 염원이 꿈을 통해 발현된다. 꿈은 잠복한 두려움이 표출되는 정서적 통로이거나 은닉된 염원이 간접적으로 드러나는 출구이다. 엔트로피 상태를 지향하는 모험과 일탈의 이미지는 꿈에서 객관화된 장면으로 묘사된다. 둘째, 창작 방식에서 은유의 활용은 점차 가속화되는 시인의 고민이 전면적으로 노출되는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타자의 시선으로 거리두기를 가능케 한다. 은유를 담론으로 확대하고자 한 시인의 면모는 때로 변신과 해체를 통해서도 드러난다. 셋째, 작품의 시간은 과거에 갇힌 듯하나 실질적으로 미래를 향해 열려있다. 과거의 어린 화자, 어린 화자를 복원한 현재, 어린 화자를 복원함으로써 변화하게 될 미래가 공존하며 환상성을 보여준다.
이렇듯 상처와 상실 등 무의식중의 억압된 사고가 환상적 이미지로 변주되어 나타나며, 이는 사실보다 더 완전한 리얼리티를 달성한다는 점에 이 글은 각별히 주목한다. 과거와 미래를 아우르는 시공간을 통해 현실의 고통을 위무하는 시인의 노래 방식이 새롭게 환기되어야 할 이유이다.
영문 초록
The following three methods of imagery are used in poems that mainly use young speakers to confess their experiences.
First, in Jin Eun-young's poetry, potential and instinctive conflicts and aspirations are expressed through dreams. Dreams are an emotional passage through which latent fears are expressed or an outlet through which hidden wishes are indirectly revealed. Images of adventure and deviation that aim for a state of entropy are depicted as objectified scenes in dreams. Second, the use of metaphor in the creative method makes it possible to distance oneself from the gaze of others while relieving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he poet's increasingly accelerating concerns fully exposed. The poet's desire to expand metaphor into discourse is sometimes revealed through transformation and deconstruction. Third, the time of the work appears to be stuck in the past, but is actually open to the future. The young speaker of the past, the present in which the young speaker is restored, and the future that will change by restoring the young speaker coexist, showing a sense of fantasy.
목차
1. 서론
2. 꿈, 실재계와 교섭하다
3. 구원으로서의 변신과 해체
4. 균열을 메우는 시간적 층위의 환상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곽씨부인, 뺑덕어미, ‘심청(沈睛)’의 공백 - 신재효본 <심청가(沈睛歌)>를 중심으로
- 글쓰기 윤리 실천을 위한 디지털 기반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인식과 작성물 비교를 중심으로
- 의료진의 의사소통 평가 내용 체계 재구조화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중간언어 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 필자의 쓰기 인식과 쓰기 전략 운용 양상 및 연관성에 대한 고찰
- 사설시조에 수용된 대화체의 양상과 시적 효과
- 리터러시 연구 16권 1호 목차
- 문화적 차원 이론 기반의 의사소통 특성 측정 도구 개발
-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 미술사 교육 - 디지털 리터러시
- 포토에세이 쓰기에 나타난 RC 거주 대학생들의 ‘장소애’의 의미 고찰
- 저학년 대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에서의 전이 가능한 저자성
- 문학 교육에서 현대시 삽화 연구
-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지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등장인물 구성 분석 연구
- 장르 기반 글쓰기 교육을 위한 학술논문 초록의 이동마디 분석
- 문학을 활용한 도덕시민교육연구 - 노동을 중심으로
- 대학 글쓰기 수업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사례 - 논문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1990년대 이후 중국조선족 도시화 서사 연구 - 김혁의 『국자가에 서있는 그녀를 보았네』, 금희의 『천진시절』을 중심으로
- 진은영 시에 나타난 환상성 구현 방식과 의미
- 김승옥 SF 소설 연구 - 「50년 후, Dπ9 기자의 어느 날」의 연구사적 함축에 대하여
- 해외 대학 한국어교육 환경에서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류 사례 연구 - 한일 대학생 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론에 나타난 시각적 재현의 정치성
- 디지털 리터러시의 문학적 사례 재고 - <디지털삼척문화대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 수학 교과서 도입부의 글과 삽화 제시 방법에 따른 학생 시선의 특성
- 유아의 계획 및 난이도 예측의 발달: fNIRS 연구
- 과학 교과 온톨로지 개발과정에서 내용 전문가들이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