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of Teachers Working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윤소연(Soyeun Yoon) 강영심(Youngsim Kang) 공나영(Nayoung Gong)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7권 제2호, 23~5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교육을 경험한 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겪는 어려움과 필요한 지원을 질적 연구를 통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교사들에게 필요한 교육적 지원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부산에 거주하는 10명의 교사가 장애가 있는 다문화가정의 어린이를 교육하면서 경험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거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를 지원하는 교사들이 가정과의 연계 부족, 언어 혼란, 자신감 저하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 제공, 통역 지원, 가정과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보육 인력 지원, 지원금 사용 확대, 의료 지원 연계 등의 요구와 교사의 상담 기술 및 의사소통 능력 강화가 강조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교육에서 교사와 부모 간 협력 및 지원 시스템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후속 연구에서 맞춤형 프로그램과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of teachers working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iming to identify effective strategies for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ten Busan- based teachers in working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qualitative method was employed to analyze their perceptions and needs, using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subsequent expert reviews. Results: Teachers reported challenges including limited family engagement,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and the low level of professional confidence. Their support needs encompassed access to information, interpreter services, enhanced family collaboration, additional childcare staff support, expanded use of government programs, medical service linkage, and training in communication and counseling skills. Conclusion: The findings emphasize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addressing systemic barriers. Customiz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nd supportive policies are critical to improving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