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르 기반 글쓰기 교육을 위한 학술논문 초록의 이동마디 분석
이용수 57
- 영문명
- Move analysis in academic paper abstracts for genre-based writ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현정(Hyeon-jeong Kim)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1호, 395~42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르 기반 글쓰기 교육을 위한 관점에서 학술논문 초록의 이동마디 분석을 통해 학술논문 초록의 장르적 특질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CI 우수학술지에 수록된 138편의 학술논문 국문 초록을 대상으로 Swales의 이동마디 분석을 통해 장르적 특징을 밝혔다. 이때 교차 분석과 카이제곱 검정 등을 통해 학문 계열별 또는 연구 방법별 학술논문 초록의 장르적 차이가 있는지도 함께 밝혀보았다. 분석 결과, 학술논문의 국문 초록은 연구 배경,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의의 및 한계와 같은 6가지 이동마디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연구 목적과 연구 결과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학문 분야 및 연구 방법에 따라 이동마디의 출현 빈도에 대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학문 계열이나 연구 방법에 따라 국문 초록의 이동마디 구조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에 맞춘 국문 초록 작성법을 안내해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동마디 분석을 통해 장르의 특질을 밝힘으로써 장르 기반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으리라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paper abstracts through move analysis of academic paper abstracts from the perspective of genre-based writing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138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KCI excellent academic journals using Swales’ move analysis. Simultaneously, cross-analysis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reveal whether genre differences in academic paper abstracts occurred by academic field or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Korean abstract of academic papers categorized into six moves such as research background, research purpose, research method, research result, conclusion, significance and limitation. Moreover,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results had the highest frequencies of appearance. In addition,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move were observed depending on academic field and research method. Therefore, recognizing that the structure of the Korean abstract may appear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academic field or research method, and providing guidance on how to write Korean abstracts is essential.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genre-based writing education by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res using move analysis.
목차
1. 서론
2. 학술논문 초록에 대한 장르적 논의
3. 학술논문 초록의 이동마디 분석
4. 학술논문 초록 쓰기 교육의 방향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학을 활용한 도덕시민교육연구 - 노동을 중심으로
-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론에 나타난 시각적 재현의 정치성
- 다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등장인물 구성 분석 연구
- 진은영 시에 나타난 환상성 구현 방식과 의미
- 문화적 차원 이론 기반의 의사소통 특성 측정 도구 개발
- 김승옥 SF 소설 연구 - 「50년 후, Dπ9 기자의 어느 날」의 연구사적 함축에 대하여
- 의료진의 의사소통 평가 내용 체계 재구조화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사례 - 논문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글쓰기 윤리 실천을 위한 디지털 기반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인식과 작성물 비교를 중심으로
- 곽씨부인, 뺑덕어미, ‘심청(沈睛)’의 공백 - 신재효본 <심청가(沈睛歌)>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의 중간언어 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 필자의 쓰기 인식과 쓰기 전략 운용 양상 및 연관성에 대한 고찰
- 사설시조에 수용된 대화체의 양상과 시적 효과
- 리터러시 연구 16권 1호 목차
-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 미술사 교육 - 디지털 리터러시
- 포토에세이 쓰기에 나타난 RC 거주 대학생들의 ‘장소애’의 의미 고찰
- 저학년 대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에서의 전이 가능한 저자성
- 문학 교육에서 현대시 삽화 연구
-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지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장르 기반 글쓰기 교육을 위한 학술논문 초록의 이동마디 분석
- 1990년대 이후 중국조선족 도시화 서사 연구 - 김혁의 『국자가에 서있는 그녀를 보았네』, 금희의 『천진시절』을 중심으로
- 해외 대학 한국어교육 환경에서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류 사례 연구 - 한일 대학생 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 디지털 리터러시의 문학적 사례 재고 - <디지털삼척문화대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