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와 대학생의 융합역량 인식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Convergence Competency and Participation in Co-Curricular Programs
발행기관
한국비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추소영
간행물 정보
『비교과교육연구』제6권 제1호, 47~6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빅블러(Big Blur) 시대가 도래하며, 사회는 대학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변화에 맞춰, 본 연구는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이 재학생의 융합역량 인식 및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U대학교 재학생 185명을 대상으로 9개 융합역량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t-검정 및 ANOVA,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9개 융합역량은 총 4개의 하위 요인(디지털 문제해결 역량, 자기주도학습 및 소통 역량, 글로벌 협업 역량, 윤리적 판단 역량)으로 구조화되었으며, 각 요인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또한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라 모든 하위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윤리적 판단 역량에서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이 단순한 프로그램 또는 활동 제공의 범주를 넘어 융합역량 함양의 전략적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역량 기반 프로그램 개발과 성과 관리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Big Blur era comes, and society is calling for fostering convergence of universities. In order to analyze it empirically, we conducted nine surveys related to the convergence competency, and analyzed the technology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of simple regress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global collaboration capabilities, ethical judgment capacit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and program. It suggests that co-curricular education can act as a strategic means of fostering convergence competencies beyond the category of provision, and proposes the need to develop competency-based programs and establish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추소영. (2025).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와 대학생의 융합역량 인식 연구. 비교과교육연구, 6 (1), 47-66

MLA

추소영.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와 대학생의 융합역량 인식 연구." 비교과교육연구, 6.1(2025): 47-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