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Level of Employment Expectations on Stres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Maturity in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이수분(Su Bun Lee) 한정규(Jeong Gyu Han)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20권 제2호, 85~11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진로상담 및 진로교육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개입 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청년패널조사(YP2007) 14차(2020년) 추가표본 자료 중 대학 재학 중인 900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취업눈높이와 스트레스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 취업눈높이와 진로성숙도 전체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중 계획성은 취업눈높이와 정적 상관, 효능감, 관심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취업눈높이는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취업눈높이는 진로성숙도 전체에 부적 영향, 진로성숙도 전체는 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매개분석 결과, 진로성숙도 전체는 취업눈높이와 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진로성숙도 하위요인별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계획성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없었으며, 효능감과 관심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높을수록 스트레스를 더 크게 지각하며, 이 관계에서 진로성숙도가 유의한 심리적 매개 변수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 진로상담 및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job aspiration level on stress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in this relationship. The goal wa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in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settings. Data from 900 currently enrolled university students were utilized from the 14th wave (2020) of the Youth Panel Survey (YP2007) additional sampl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job aspiration level and stress,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aspiration level and overall career maturity.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planful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aspiration level, while self-efficacy and interest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Second, job aspiration leve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on stress. Third, job aspiration level had a negative effecton overall career maturity, and overall career maturity had a negative effect on stress. Furthermore,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overall career maturity played a ful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spiration level and stress. Fourth, in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by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planfulness showe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hereas self-efficacy and interest exhibited full mediating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higher job aspirat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is associated with greater perceived stress, and that career maturity acts as a significant psychological mediator in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improving career maturity in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분(Su Bun Lee),한정규(Jeong Gyu Han). (2025).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20 (2), 85-111

MLA

이수분(Su Bun Lee),한정규(Jeong Gyu Han).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20.2(2025): 85-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