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갈등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Phenomenological Study on Parenting Conflicts Experienced by Mothers of Gift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최수연 김현주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2호, 5~3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재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갈등 경험과 그 내재된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K-WISC 검사 결과 지능이 상위 3~5%에 해당하는 13세~18세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총 4개의 구성요소와 8개의 하위 요소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구성요소는 ‘비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혼란’, ‘사회적 이해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헌신과 한계 사이의 역설’, ‘편견 속 고립의 수용’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편견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고립된 채 홀로 양육의 어려움을 극복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현실적 제약을 수용하며 자신의 양육역할을 재정립하고 자녀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 영재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갈등을 조명함으로써, 향후 실질적 지원 방안 마련 및 영재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재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 depth, the experiences of parenting conflict and their inherent meanings among mothers raising gifted children. To this end, five mothers of gifted adolescents aged 13 to 18, whose intelligence scores fall within the top 3–5% based on the K-WISC assessment,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yielding four essential constituents and eight subcategories. The essential constituents identified were confusion regarding atypical characteristics, challenges arising from a lack of social understanding, the paradox between devotion and limitation, and acceptance of isolation within prejudice. The findings revealed that in a society dominated by prejudice, the participants endured the challenges of parenting in isolation, accepted practical limitations, redefined their parenting roles, and developed new insights into their childre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eds light on the parenting conflicts experienced by parents of gifte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reby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ractical support measures and reconsidering societal prejudices toward giftednes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갈등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 그릿, 사회적 지지, 경력몰입의 구조적 관계분석
-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표현어휘력 매개효과
- 아동양육시설을 퇴소한 또는 퇴소를 앞둔 청소년의 자아기능 및 양육기능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 영유아교사 인성에 관한 연구- 근무기관, 교육경력, 자격, 교육활동 만족도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동료교사협력, 원장의 코칭리더십, 교사부모협력이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완화 및 긴장 이완을 위한 치료 대기 공간 내 음악 감상 효과 - 음악 경험과 성격 유형에 따른 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의 그릿 향상을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의 사회 및 정서발달(공감, 공동체 의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ese Marxism studies Vol.2 No.6 Contents
- 新时代推进“四下基层”的逻辑出场、基本经验与实践路径
- 智能时代高校学生党建思想建设策略探究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