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표현어휘력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Expressive Vocabulary in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Social Parenting Style and the Child's Peer Interaction
발행기관
한국부모교육학회
저자명
안희숙 도미향
간행물 정보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2호, 39~5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표현어휘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PSKC: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의 4차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방식, 5차 또래 상호작용, 4차 표현어휘력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SPSS 26, AMOS 2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방식과 또래 상호작용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방식은 표현어휘력 백분위 점수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표현어휘력 백분위 점수 역시 또래 상호작용과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셋째, 유아의 표현어휘력은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방식과 또래 상호작용에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방식이 또래 상호작용을 직접 높여주지는 못하지만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 방식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표현어휘력이 높아져 결국 또래 상호작용 역시 높아지는 완전 매개 효과 결과가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xpressive vocabula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ocial parenting method and infant peer interaction. To this e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on the 4th mother's social parenting method, 5th peer interaction, and 4th expressive vocabulary from the Korean Children's Panel Survey. The follow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 and AMOS 22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social parenting method and peer interaction. Second, the mother's social parenting method had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xpressive vocabulary percentile score, and the expressive vocabulary percentile score had a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eer interaction. Third, infants' expressive vocabulary completely mediated the mother's social parenting method and peer interaction. Although the mother's social parenting method does not directly increase peer inter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the mother's social parenting method, the higher the infant's expressive vocabulary, eventually increasing peer interaction.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희숙,도미향. (2025).어머니의 사회적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표현어휘력 매개효과. 부모교육연구, 22 (2), 39-58

MLA

안희숙,도미향.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표현어휘력 매개효과." 부모교육연구, 22.2(2025): 39-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